쓰레기 수거량 당초 계획의 10%에 그쳐

내포신도시에 설치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김성준 기자
내포신도시에 설치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김성준 기자
내포신도시에 설치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이 매년 막대한 운영비에도 불구하고 쓰레기수거량은 당초 계획의 10%에 그치는 등 제구실을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앞으로 자동집하시설 소유권을 두고 지자체 간 갈등까지 예고돼 애물단지 신세를 면치 못 하고 있다.

내포신도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쓰레기를 종량제 봉투에 담아 지정된 554개 투입구에 버리면 지하에 매설된 40.2km의 배관을 통해 2개의 중앙집하장까지 이송하는 자동 집하 시스템이다. 사업시행자인 충남개발공사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사업비 916억 원을 들여 1일 70t 규모의 쓰레기 수거가 가능한 자동집하시설을 준공했다.

자동집하시설은 2014년 1월 31일 1차 준공 이후 시험운영 전까지 이용이 불가능했지만 연간 7억여 원의 운영비용이 발생해 그동안 주민들의 눈총을 받아왔다.

우여곡절 끝에 2017년 6월 1일 시험운영이 시작됐지만 주민들의 원성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았다. 자동집하시설을 통해 일반쓰레기만 수거할 뿐 음식물 쓰레기는 여전히 수거하지 않고 있으며, 일반쓰레기 수거량마저 당초 계획했던 수거량 기준에 한참 못 미쳤기 때문이다.

충남도 신도시 자동집하시설 위탁운영원가 산정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당초 인구수 3만 명 기준 자동집하시설 1일 쓰레기 수거량은 21t으로 계획돼 있었지만 지난해 자동집하시설 쓰레기 수거량은 550t이었다. 주 5일 가동기준으로 보면 1일 평균 쓰레기 수거량이 당초 계획의 10%인 2.1t에 불과한 셈이다. 현재 내포신도시 인구가 2만 5000여 명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턱없이 부족한 수거량이다.

매년 발생하는 24억여 원의 운영비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충남개발공사에 따르면 자동집하시설 운영 시 연간 24억 6900만 원의 비용이 발생하며 비용 중 대다수는 인건비와 전력비로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다수 내포신도시 주민들은 이용 시 매번 RF 카드를 지참해야 하는 등 불편하다는 이유로 자동집하시설을 외면한 채 쓰레기봉투를 길에 내놓고 있어 여전히 기존 쓰레기 수거차량과 청소인력은 그대로 운영되고 있다. 쓰레기 수거 주체인 홍성군과 예산군은 내년 내포신도시 개발이 완료되더라도 여전히 쓰레기 수거차량과 청소인력을 운영할 계획이다.

내포신도시 개발 완료 1년을 앞둔 시점임에도 아직 명확한 운영주체가 정해지지 않은 점도 문제다. 충남도와 충남개발공사, 홍성군, 예산군은 올해 2월까지 14차례에 걸쳐 소유권과 운영비 지원을 두고 논의를 이어왔지만 두 지자체 간 입장차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충남개발공사 관계자는 "소유권 문제를 두고 도와 군 간 운영비 지원 규모 등 세부적으로 논의해왔지만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어 인수·인계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김성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성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