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정유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 역설계 모델 모식도.
기존에 알려진 수만종의 물질들을 이미지로 표현하고 안정성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안정한 신물질을 발견할 수 있는 잠재물질공간을 구축했다. 구축된 물질잠재공간에서의 샘플링과 역변환을 통해 신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림=KAIST 제공
[그림] 정유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 역설계 모델 모식도. 기존에 알려진 수만종의 물질들을 이미지로 표현하고 안정성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안정한 신물질을 발견할 수 있는 잠재물질공간을 구축했다. 구축된 물질잠재공간에서의 샘플링과 역변환을 통해 신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림=KAIST 제공
인공지능(AI) 기반의 신소재 역설계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유성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원하는 물성을 갖는 신소재를 역설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기존의 소재 개발 과정은 화학적 직관과 실험적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우선 소재를 합성한 뒤 물성을 측정, 만들어진 소재가 응용 목적에 맞는 소재인지를 평가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비용과 시간소모가 많았다. 소재 개념화에서부터 상용화까지 평균 30년 정도 걸렸다.

정 교수 연구팀은 AI와 슈퍼컴퓨터 기술을 융합해 소재 개발을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 역설계 방법을 개발했다. 수만 개의 물질과 이 물질들이 갖는 물성을 학습한 기계(알고리즘)가 원하는 물성을 갖는 물질을 역으로 생성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이미지 생성에 주로 쓰이는 생성모델 기반의 인공지능 기법을 알려지지 않은 무기 고체 소재를 생성하는 데 최초로 활용했다. 특히 기존의 생성모델을 고체 소재에 적용하기 위해 역변환이 가능한 3차원 이미지 기반의 표현자를 도입, 기존 소재 역설계 모델의 한계를 극복했고 이를 `iMatGen(image-based Materials Generator)`이라 이름 지었다.

연구팀은 개발된 소재 역설계 기법을 새로운 바나듐 산화물 결정구조를 예측하는 데 적용했다. 이 학습 과정에서 기존에 알려진 물질을 제외한 뒤 학습하더라도 제외된 물질들을 역으로 재발견할 수 있음을 확인, 개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모델을 통해 학습된 연속 잠재공간을 다양한 방법으로 샘플링하고 역변환해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전혀 새로운 바나듐 산화물 결정구조를 예측할 수 있었다.

정 교수는 "향후 다양한 응용 분야의 신소재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주재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재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