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드러기

김지혜 건양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김지혜 건양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두드러기는 피부나 점막에 존재하는 혈관이 물질 분자의 통과나 침입을 허용하는 성질인 투과성이 증가할 경우 발생한다. 혈장성분이 혈관 주변 조직으로 빠져나와 생기는 피부팽창과 빨갛게 부어오르는 증상을 말한다. 두드러기는 주로 피부의 상부진피에 발생하며 부분적인 부종에 의해 국소적으로 부풀어오르는 팽진과 가려움증을 보이지만, 혈관부종은 피부의 하부진피에 발생해 상층부의 부분적인 부종에 의해 혈관부종과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김지혜 건양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의 도움말로 두드러기에 대해 알아본다.

◇원인= 두드러기는 크게 급성 두드러기와 만성 두드러기로 나눌 수 있다. 6주를 기준으로 6주 동안 매일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경우 만성 두드러기라고 한다.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는 이유는 대부분의 급성 두드러기의 경우 후두 부종이나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같은 생명이 위급한 질환에서 동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인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만성 두드러기는 그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두드러기의 대표적 원인으로는 갑각류와 같은 음식물, 비스테로이드성 함염증제나 항생제등의 약물에 의한 두드러기, 압박 혹은 콜린성 두드러기 같은 물리적 인자에 의한 두드러기, 면역 복합체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두드러기도 있다.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라는 원인이 없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두드러기도 있다.

◇증상과 진단= 두드러기는 피부가 부어오르면서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피부의 병리적 증상이 3-4시간 후 사라졌다가 다시 다른 부위에 생긴다.

대개 각각의 피부의 병리적 변화는 12-24시간 이내에 사라지지만, 두드러기 혈관염이나 구진두드러기 등은 하루 이상 지속되기도 한다.

만약 눈 주위나 입술이 퉁퉁 붓는다면 혈관부종이 동반된 경우이며,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이 동반될 수도 있다.

많은 수의 환자들은 일단 몸에 발진이 생기면 대부분은 두드러기가 나서 왔다고 호소하지만, 아닌 경우도 있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 사진을 찍어 담당의사에게 보여주면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병력 청취도 중요하다. 급성 두드러기는 원인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많고, 환자가 병원에 와서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 어떤 일을 하고 나서 두드러기가 생겼는지 먼저 원인을 알려주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만성 두드러기의 경우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원인 음식으로 의심 가는 것이 있다면 혈액검사 및 피부 반응 검사로 확진을 해서 해당음식을 피해야 한다.

약물에 의한 두드러기가 의심이 되는 경우 경구 약물 유발검사나 다양한 혈액검사를 통해 동반된 알레르기질환, 감염 질환 등을 통해 두드러기를 진단할 수 있다.

◇치료= 두드러기의 원인을 알고 있다면 가장 중요한 치료는 원인 및 악화 인자를 회피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중요한 치료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다원인 물질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과도한 스트레스, 술, 아스피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 등은 두드러기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

두드러기는 비만세포의 활성화로 인해 비만세포가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염증 매개 물질에 의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그 염증 매개 물질 중 하나인 히스타민을 억제하는 게 약물치료의 핵심이다.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졸린 부작용이 적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 한가지로 조절이 안 되면 용량을 늘리거나 필요에 따라서 전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스테로이드를 단기적으로 사용할 때 부작용은 거의 없지만,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예방법= 두드러기의 원인을 안다면 원인 음식이나 행동을 피하는 것이 치료와 예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일상생활에서는 뜨겁고, 맵고 자극적인 음식이나 지나친 난방, 뜨거운 목욕 또한 피하는 것이 좋다. 두드러기는 대부분 밤에 나빠지고 일상생활 중에는 거의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가려움증으로 밤에 잠을 못 자는 경우도 많아서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삶의 질을 심장 질환자와 비교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만성 두드러기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 대한 이해와 공감은 필수적이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