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7년 1957만 가구→2040년 2264만 가구까지 증가, 이후 2047년 2230만 가구로 줄어들 전망

[연합뉴스]
[연합뉴스]
2040년을 기점으로 대한민국 가구수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인 가구는 계속 늘고, 고령가구와 여성 가구주 또한 각각 2.8배, 1.5배 늘어나 가족의 모습도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18일 통계청이 내놓은 `2017-2047년 장래가구 특별추계`에 따르면 지난해 총 가구는 1957만 1000 가구로 2040년 2265만 1000가구까지 늘었다가 2047년 2230만 3000가구로 줄어들 전망이다. 2017년 가구증가율 전년 대비 1.5%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증가폭이 줄기 시작해 2041년부터는 마이너스로 전환, 2047년 -0.36%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평균 가구원수도 2.48명에서 2.03명까지 줄어든다.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가족의 구성원도 현재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2017년 가구유형은 부부·자녀가구가 31.4%(615만 가구)로 가장 많고 1인가구 28.5%(558만 3000가구), 부부가구 15.8%(309만 3000가구) 등 순이지만, 2047년이면 1인 가구가 37.3%(832만 가구)로 가장 비중이 높고, 부부가구 21.5%(479만 4000가구), 부부·자녀가구 16.3%(363만 8000가구) 순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시간이 흐를 수록 증가폭 또한 연평균 1인가구는 9만 1000가구, 부부가구는 5만 7000가구씩 증가하며, 부부·자녀가구는 연평균 8만 4000가구씩 감소한다.

특히 1인 가구는 가족을 의미하는 주된 모습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1인 가구 중에서도 2047년이면 남자 1인가구 비중은 50.3%로 절반을 넘게 되고 여자 1인가구 비중은 49.7%로 변화한다.

1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 또한 2017년 30대 17.4%(97만 4000가구), 20대 17.1%(95만 2000가구), 50대 16.9%(94만 5000가구) 등 순이지만, 2047년이면 70대가 21.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65세 이상까지 포함하면 48.7%로 비중은 더 높아진다.

여성 가구주 비중도 증가한다. 2017년 남성·여성 가구주 비중은 각각 69.6%와 30.4%이지만, 2047년이면 남성 가구주 60.8%, 여성 가구주 39.2%로 비중이 변화한다.

부부가구는 증가하고, 부부·자녀가구는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2017년 부부가구 비중은 15.8%(309만 3000가구)에서 2047년 21.5%(479만 4000가구)로 5.7%포인트(170만 1000가구) 증가할 전망이지만, 부부·자녀 가구 비중은 같은 기간 31.4%(615만 가구)에서 16.3%(363만 8000가구)로 감소할 전망이다.

한부모·자녀 가구도 10.2%(200만 가구)에서 9.5%(210만 8000가구)로 소폭 감소하며, 조부모와 자녀가 함께 사는 3대 이상 가구 역시 4.9%(95만 1000가구)에서 2.3%(50만 5000가구)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