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확전되는 양상이다. 미국 재무부가 그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전격 지정했다. 위안화 환율이 미국이 마지노선으로 여겼던 달러 당 7위안을 넘어섰다는 이유에서다. 7위안을 넘어선 것은 11년 3개월만으로 이는 중국 당국의 환율조작 때문이라는 게 미국의 판단이다. 중국도 맞대응으로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중단하고 기존에 구매한 농산물에 대해선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맺었던 휴전도 한 달여 만에 소용없게 됐을 뿐만 아니라 관세부과를 통해 상대국을 압박했던 무역전쟁이 오히려 통화시장까지 확대되게 됐다.

무역전쟁 와중에 미국이 환율조작국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중국과의 전면전을 불사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중국도 맞대응을 천명함으로써 결코 물러서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처럼 두 나라가 한 치의 양보도 없이 불꽃을 튀기는 것은 결국 유리한 입장에서 교역을 하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미중 무역전쟁과 환율전쟁이 당사국만의 일로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경제규모 1, 2위 국가 간의 전쟁은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각성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미중 무역전쟁이 글로벌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린다고 경고한 바 있다.

미중 환율전쟁이 우리에게 더 걱정스러운 것은 총력을 다해 일본과 경제전쟁을 치러야 하는 마당에 닥쳐온 악재라는 점이다. 더구나 한국은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인 만큼 1, 2위 수출대상국간의 환율전쟁은 우리 경제에 치명적일수가 있다. 일부 수출업종엔 호재가 될 수 있다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기업경영과 국가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일이다.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자체만으로도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주요국가의 증권시장과 외환시장이 출렁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지나치게 불안해할 건 없다 하더라도 기업과 금융당국의 세심한 대처가 필요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