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또 치졸하고 야비한 본색을 드러냈다.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한국에 대해 백색국가 제외라는 2차 수출규제 조치를 강행했다. 지난 1차 수출규제 이후 한국이 대화를 촉구하고 부당한 조치의 철회를 요구했지만 끝내 거부했다.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불만을 경제보복으로 표출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수출관리 절차이지 보복의 의미가 아니라는 입장을 강변하고 있다. 속셈이 눈에 빤히 보이는데도 엉뚱한 소리로 합리화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추가 보복 조치에 정부도 일본을 백색국가 제외로 맞대응하기로 했다. 사실상 `한일 경제전쟁`이 시작된 상황이다.

한일 경제전쟁은 우리가 바란 게 결코 아니다. 일본이 먼저 싸움을 걸어온 만큼 이젠 피할 수도 없게 됐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건 한국기업과 한국경제다. 그동안 일본에서 수입해오던 1100여 개 품목이 영향을 받는다. 반도체 등 핵심 부품소재 3가지만 갖고도 한국에 비상이 걸렸다. 일본도 적잖은 피해가 예상될 것이라고 하지만 부수적일 뿐이다. 근본적인 대책은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국산화를 통한 경제 분야의 `탈일본`이다.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조치에 국민적 분노가 들끓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가 맞대응을 천명한 것도 자연스런 일이다. 그렇다고 즉흥적이고 감정적이어선 안 된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는 하루아침에 이뤄진 게 아니다. 오래전부터 철저히 준비하고 실행에 옮긴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반발과 국제사회의 시선도 계산 속에 들어있을 것이다. 그에 대한 나름대로의 시나리오도 상정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일본의 이번 조치는 장기전으로 흐를 것으로 봐야 한다. 한국의 대응역시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둬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 기업과 경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급한 불부터 끄는 게 중요하다. 일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되 치밀하면서도 장기적으로 타격을 줄 수 있는 묘책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