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 렌트프리의 왕국이 됐다. 렌트프리란 임차인에게 초기 임대료를 받지 않고 상가, 차량 등을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렌트프리가 세종에서는 상가에 해당되는 얘기로 짧게는 6개월부터 2년까지 이뤄지고 있다.

고운동의 한 상가 건물주는 2년 렌트프리 조건으로 세입자를 모집하고 있다.

아름동에서는 6개월 렌트프리에 인테리어 비용까지 지원하고 있다.

임대인들이 당분간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공실로 인한 건물 가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인 셈이다.

역대 최악으로 꼽히는 상가 공실이 불러온 결과다. 통계조사에서는 32.1%란 상가공실률이 나오고 있지만 시민, 임대업자 등은 상황은 더 심각하다고 입을 모은다.

세종 도심 어느 곳을 가던 점포가 가득 들어선 건물은 찾아보기 힘들다. 세종 전역이 상가 공실로 신음하고 있는 것이다.

상권이 자리잡을 때까지 악순환의 반복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미래로 임대, 임차인들의 고민은 깊어만 간다.

임대인들은 건물 공실을 두고 건물 가치 하락은 물론, 빚더미에 쫓기는 신세가 되기도 한다. 빚을 얻어 상가를 산 임대업자들이 이를 갚지 못해 경매로 나온 건수가 45건에 이른다.

임차인들은 월세에 비해 매출이 나오지 않다 보니 가게를 빼는 경우도 많이 나온다. 지난해 세종 지역 폐업자가 창업자의 절반에 육박한다는 통계도 있었다.

이 같이 상가공실이 최악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계획도시로 출범한 세종시의 오점으로 남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들이 내놓은 대책은 상가공급 제한, 소상공인 육성 등으로 미래지향적이다. 현실에 충실하길 바라는 시민들의 눈높이에는 턱 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이 말 그대로 공무원들의 도시가 될 수도 있다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더욱이 공무원들마저도 세종을 근무지로만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도시 출범 7년에도 통근버스 확대 운영이 공무원들의 생각을 방증한다. 아파트 공급에서도 공무원들이 받는 특혜는 여전하다.

이제는 공무원 맞춤 대책이 아닌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춘 개선책이 나와야 하는 시점이다.임용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용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