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포털 1위 업체인 네이버 제2 데이터센터 유치전에 전국 지방자치단체 10여 곳이 달려들고 있다고 한다. 이들 지자체들이 군침을 흘리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이 시설 구축 비용만 5400억 원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지난 2013년 강원도 춘천에 설립된 데이터센터보다 2배 더 큰 규모로 추정된다. 게다가 지방세수 면에서 황금알 낳을 것이라는 점도 매력을 끄는 대목이다. 지자체들이 왜 눈독을 들이는지 알 수 있다.

사정이 이렇다면 충청권 지자체들도 유치전에 가세해서 손해 날 일은 없다. 마침 충북 충주시와 제천시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충주시는 저렴한 분양가와 수도권에서의 접근성을 내세우는 전략을 펴고 있는 모양이다. 이에 뒤질세라 제천시의 경우 맞춤형 부지 조성 카드를 제안하는 한편, 투자유치촉진 조례 개정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런 충북권 대응과 달리 대전·충남권은 별다른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냥 먼산만 보는 것으로 족하다는 건인지 아니면 동기부여가 안 된다는 것인지 속내를 가늠하기 어렵다. 광역자치단체로는 부산시와 인천시가 이번 유치전에 뛰어든 것과 비교된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알다시피 대전시는 IT 산업 활성화와 4차 산업혁명 도시를 표방하고 있다. 그럼에도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에 반응을 안 보이고 있으니 선뜻 수긍이 가지 않는다. 충남권도 아쉽기는 마찬가지다. 시·군 한 두곳 정도는 도전장을 내밀어 볼만도 한데, 일찌감치 마음을 비우기로 작정이라도 한 듯하다.

실속 있는 대기업 유관 시설 유치는 지역경제의 볼륨을 키우는 데 필수적이다. 해외 기업을 상대로 투자 유치 세일 활동을 벌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국내 경쟁질서에서 밀려나는 지자체는 역동성 지수에서 뒤쳐지게 돼 있다. 그래서 기업체 동향, 정보에도 귀가 열려있어야 한다. 아울러 지자체 경쟁력은 시·도 수장들 역량과 연동되는 현실도 직시했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