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처음 자율적으로 이뤄낸 청주청원 통합은 지난한 과정의 연속이었다. 두 지자체의 통합은 1994년과 2005년, 그리고 2010년 3차례 시도됐지만 번번이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그러다가 2012년 4번째 주민투표에서 극적인 통합이 이뤄져 18년 만인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 닻을 올린 것이다. 어제가 바로 통합 청주시 출범의 발판을 마련한 주민투표를 했던 날이다.

출범 5년의 통합 청주시는 과연 어떻게 변했을까. 재정과 인구, 경제 규모 등 모든 면에서 통합 전과 비교도 안될 만큼 눈부시게 커졌다. 예산은 전국 220여 개 시군구 가운데 네 번째로 큰 2조 3353억 원의 규모를 자랑하고, 인구는 83만 명을 훌쩍 넘겼다. 광역시급 도시로 성장했다는 평가가 나올 만도 하다. 대부분의 지자체가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을 볼 때 통합 효과가 컸음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이런 성장에도 불구하고 옛 청원군 농촌 지역 주민들이 느끼는 심리적 박탈감과 행정 권한이 여전히 기초단체 수준에 머무는 점은 아직도 미완의 숙제다. 시가 특례시 지정에 매달리는 것도 다 이 때문이다. 특례시가 되면 자치단체의 권한과 자율권이 강화돼 지역 실정에 맞는 발전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다.

문제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현행 특례시 지정 기준을 어떻게 극복하느냐다. 그래도 한가닥 기대를 거는 건 특례시 기준을 행정수요 100만 명 이상 도시와 인구 50만 명 이상의 도청소재지를 두고 있는 곳을 지정할 수 있게 관련법 개정이 논의되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 연간 148만 5000여 건의 민원접수가 이뤄지면서 인구 100만 이상의 행정수요를 충족하고도 남음은 고무적이다. 5년 전 통합 자치단체를 출범시킨 것처럼 특례시 지정요건 다양화에도 지역의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 청주청원 주민들이 자율 통합이란 저력을 보여줬듯이 또 한 번 특례시 지정이란 저력을 발휘할 때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