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를 오고가는 통근버스 존치논란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음에도 운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정부세종청사 주차장에서  청사 공무원들과 시민들이 퇴근버스를 타고 있다. 빈운용 기자
정부세종청사를 오고가는 통근버스 존치논란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음에도 운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정부세종청사 주차장에서 청사 공무원들과 시민들이 퇴근버스를 타고 있다. 빈운용 기자
서울·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역균형발전, 궁극적으로 미래 국가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하는 정부의 행정역량 분산 드라이브가 정작 공무원들에게는 먹히지 않고 있다. 2012년 7월 우여곡절 끝에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출범한 세종시는 인구 30만으로 몸집을 키웠지만 여전히 통근버스를 타고 서울을 오가는 공무원들의 외면 속에 `불꺼진 신도시`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행정중심도시로서 위상 정립과 함께 지역발전을 촉진하고 일부 두집살이 공무원에 주어지는 특혜성 교통지원 논란을 불식하려면 이제라도 통근버스를 없애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24일 정부청사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는 올해 74대가 운영 중이다. 관련 예산은 76억 원으로 정부청사 통근버스 전체 예산(106억 원)의 72%에 달하는 금액이 세종청사에 배정된 것이다. 나머지는 서울청사 13억 6900만 원, 과천청사 8억 9300만 원, 대전청사 5억 6200만 원이다. 세종시 출범 당시부터 시작된 통근버스 운행량은 2014년(174대) 최고치를 기록한 후 매년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해 65대까지 줄었다. 올해의 경우 지난해 대비 9대가 늘어 모두 수도권에 배치됐다.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전으로 인한 통근버스 운행량 증가로 보인다. 현재 세종과 각 지역을 오고가는 통근버스는 하루 226차례 운행되고 있다. 가장 많은 45대가 운행되는 서울 등 수도권 통근버스는 지난 2월 7일 기준 하루 평균 45대로 869명이 이용하고 있다. 이어 대전·세종권은 22대를 694명이 이용하고 있다.

22년 전 건립된 정부대전청사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서울-대전청사를 오가는 통근버스(45인승)는 현재 12대로 월요일 출근용(주초버스)과 금요일 퇴근용(주말버스) 각 6대씩 운행되고 있다. 지난해 주말버스를 이용한 대전청사 공무원이 월평균(대당) 30여 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180여 명이 서울과 대전을 오가는 두집살이를 하고 있다는 단순계산이 나온다. 대전청사에서 근무하는 12개 기관 7700여 명(비공무원 포함)의 2.3%에 불과한 이들을 1년 동안 실어 나르는데 국민혈세 2억 6975만 원이 들었다. 공무원 1인당 150만 원에 달하는 혜택을 보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통근버스 존폐에 대한 뚜렷한 계획이 없다는데 있다. 청사관리본부는 다음 달 10대를 줄이는 것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중장기 감축계획을 세웠으나 통근버스 폐지안까지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청사 역시 "정부예산에 따라 감차는 될 수 있지만 갑자기 통근버스를 없애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달리 2013년 충남도청 이전과 함께 조성된 내포신도시와 대전을 오가는 도청 통근버스(3대)는 올해 말까지 운행한 후 중단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대전 2대, 천안 1대의 직원 통근버스를 운행 중인 충남도교육청도 내년부터 중단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2020년 말까지 통근버스를 운행할 계획이었으나 지역경제 활성화를 원하는 지역사회와 도의회 의견 등을 반영해 운행 중단 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며 "조만간 직원들에게 공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승현·김정원·임용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