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어제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방문,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시 주석의 이번 방북은 단순한 국빈 방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중국 최고지도자로선 14년만의 방북이기도 하지만 그 시점이 미묘할 수밖에 없다.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면서 북미 협상의 재개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오는 28일엔 일본 오사카에서 G20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다. 지속되고 있는 미중 무역전쟁은 여전히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점을 들어 북중이 단순한 동맹 강화 이상을 논의 했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국과 미국은 시 주석의 방북을 계기로 교착상태에 빠진 비핵화의 물꼬가 트이길 내심 기대하고 있다. 방북을 하루 앞두고 시 주석은 기고문에서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대화와 협상에서 진전이 이룩되도록 함으로써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중국이 북한에 가진 영향력을 한미의 뜻대로 활용할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대북 영향력을 과시하고 북한과의 공조를 통해 미국에 맞서려는 전략을 구사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도 시 주석 방북으로 "한반도 문제 해결 구도가 남북미 3자에서 남북미중 4자로 바뀔 가능성이 대두됐다"며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과 중국의 관계가 좋아진다고 비핵화 진전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오히려 북핵 제재에 대한 태클만 거세질 소지가 있다고 봐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중국은 `부분적 비핵화와 제재 해제`를 주장하는 북한 입장을 공공연히 지지하고 있다. 미국의 완전한 비핵화에 동조를 하지 않는 셈이다. 중국은 유엔 제재위원회의 정제유 대북차단 요구도 거부했다. 이런 상황에서 시 주석 방북으로 북중이 더욱 밀착된다면 북핵 제재 국제공조도 깨질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기대보다 우려가 나오는 시 주석의 방북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