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이야기` 초기에 공공언어 분야에 관심이 높아지는 것을 두고 정부와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현실적인 공공언어의 개선을 기대한다는 내용을 글을 실은 적이 있다. 그 관심이 여러 노력으로 꾸준하게 이어졌고, 지난 17일에는 한국공공언어학회가 2018년 창립 이후 첫 학술대회를 열었다. 국립국어원의 소강춘 원장과 더불어민주당의 정세균 의원 등 공공언어에 관심을 둔 전국의 기관과 전문가가 참석하여 긴 시간 동안 열띤 이야기를 나누었다.

토론의 장에서는 공공언어 진단 기준인 정확성과 소통성에 대한 이야기로 집중되었다. 공공언어 진단은 2010년 `공공언어 요건 정립 및 진단 기준 개발 연구`로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 중심에는 `정확성`과 `소통성`이 늘 자리하며, 이후 진단 기준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진행되었다.

공공언어에서의 정확성은 표기와 표현에 초점을 둔다. 즉, 맞춤법, 띄어쓰기, 어휘 선택 등을 고려하여 살피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대부분의 공공언어 사용자는 정확성을 충족하기 위한 기준을 모두 외우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지침으로 많은 사람들이 접근하기 쉬운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 것도 놓쳐서는 안 된다. 오가는 이야기 중에 공공언어를 주로 사용하는 공무원들 책상 앞에 진단 기준표가 놓여야 한다는 말도 있었다. 필자는 이에 더해 맞춤법 검사기가 존재하듯, 공공언어 문서 작성자가 쉽게 접근하여 진단하고 고쳐 쓰는 이른바 `공공언어 정확성 검사기`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실제로 2013년에 `공공언어 진단 자동화 도구` 개발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2015년 이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도구 개발에 있어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겠지만 `정확성`에만 국한해서라도 개발을 다시 시작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소통성은 `공공성`, `정보성`, `용이성`을 요소로 둔다. 권위적이거나 차별적 표현이 없는지, 적절한 양의 정보를 제공하는지, 쉽고 친숙한 용어로 이해를 잘 돕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소통성이다. 이러한 소통성은 진단하기에 모호한 부분이 존재한다. 정확성은 규정이 존재하지만 소통성은 `소통이 잘 이루어진다`는 판단 정도를 어떻게 가늠할 것인지 그 정도를 규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공공언어에 지나친 한자어나 외래어의 사용은 소통성의 큰 문제가 된다. 학회에 참석하기 전 대학원생들에게 공공언어의 문제에 대해 물었더니, 이 문제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문화재를 더 자세히 알고 싶어 `문화재 안내판`을 보아도 알 수 없더라는 말이다. 또한 외래어의 남용은 그 외래어를 학습하지 않은 이들에게는 무용지물의 글이다. 분명 외래어를 다듬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그리 해야 한다. `매뉴얼`보다는 `설명서`나 `안내서`를 선택하였을 때 훨씬 소통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이것 또한 양면성이 있으니, 과도한 교정이 이루어지면 오히려 어색한 우리말이 되어 소통의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즉, 소통성이라는 것은 우리말을 사용하는 언중들의 선택을 받아야 하는 것이지, 몇몇의 전문가가 단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이다.

공공의 목적으로 게시되는 글은 정확하게 내걸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정확하게 글을 보여주려다 보면 소통의 측면을 간과하는 문제가 분명 발생한다. 공공언어는 이러한 점을 잘 고려하여 지침들이 세워야 할 것이다.

공공언어 개선을 위한 노력이 꽤 오래전부터 이루어지고 있었고, 지금도 좀 더 나은 공공언어의 모습을 위해 전문적인 노력을 더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공공언어 개선을 지원하고 있다. 국립국어원 누리집에 원하는 글을 올리면 다듬어주는 것은 물론, 상담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 사업은 인력의 한계가 있고,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문서의 경우 즉시 답변을 받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렇듯 아직 나아가야 할 길은 멀지만 많은 이들의 관심 속에서 더욱 좋은 방안들이 나올 것이기에 올바른 공공언어 사용의 정착이 머지않아 이루어지리라 기대해본다.

박원호 한남대 국어문화원 책임연구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