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전경
대덕연구개발특구 전경
지난 40여 년간 국가발전을 견인함과 동시에 `과학도시` 대전의 토대가 된 대덕연구개발특구재단(대덕연구단지)의 위상에 빨간불이 켜졌다. 타 지역을 중심으로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분원 설치 등이 잇따르면서 과학메카로서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덕이 유일했던 연구개발특구의 광주, 부산 등 확대 지정 또한 대덕특구의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26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출연연 지역 조직(분원)은 총 57개소 인 것으로 집계됐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 15개소(서울 7·인천 1·경기 7), 호남권 16개소(광주 5·전북 9·전남 2), 충청권 3개소(충북 3), 대경권 9개소(대구 6·경북 3), 동남권 9개소(부산 4·울산 3·경남 2), 강원권 3개소, 제주권 2개소 등이다. 대전을 제외한 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출연연 분원이 운영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이들 분원 중에서는 대덕특구에 소재한 출연연의 분원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경우에는 1992년 서울센터를 시작으로 2012년 서울서부센터에 이르기 까지 모두 8곳의 분원이 타 지역에 설치됐다. 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서울SW-SoC 융합 R&BD 센터(경기 판교)·호남권연구센터(광주)·대경권연구센터(대구) 등 3곳, 한국기계연은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대구)·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부산)·LNG·극저온 기계기술시험 인증센터(경남 김해) 등 3곳의 분원을 운영 중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분원은 첨단방사선연구소(전북 정읍),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경북 경주) 등 2곳, 한국화학연구원은 울산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바이오화학실용화센터(울산) 등 2곳이다.

여기에 타 지역 연구개발특구의 확대 지정 또한 대덕특구의 위기감을 고조시키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2005년 대덕연구단지가 대덕연구개발특구로 확대 개편된 이후 2011년 광주와 대구, 2012년 부산에 이어 2015년 전북에도 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됐다.

출연연 한 관계자는 "대덕특구 내 출연연 분원이 지속적으로 다른 지역에 세워지고 있는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출연연 분원의 타 지역 유출은 대덕특구의 위상 확립과 대전시의 발전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대전시는 대덕특구의 공간개편 등을 위한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재창조)`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동안 대덕특구가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지만, 시간이 지나며 국가 및 지역 경제성장 견인의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판단에서다. 시는 올해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마스터플랜 수립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박영문·주재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