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트램 교통 지도 바꾼다]上.트램 추진배경

대전도시철도2호선 트램 노선도.
대전도시철도2호선 트램 노선도.
◇글 싣는 순서-上.트램 추진배경 中.대전 미래교통 모습 下.향후 과제 진단

지난 1월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 사업으로 확정된 대전도시철도 2호선 노면전차(트램)가 `쾌속질주` 하고 있다. 1996년 정부의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 승인 이후 23년 동안 표류하던 도시철도 2호선은 무가선(배터리로 움직이도록 제작) 트램 방식으로 2025년까지 건설된다. 트램은 대전의 교통은 물론, 전국 대중교통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전 트램 도입의 배경과 향후 미래교통의 모습, 향후 과제 등을 3차례에 걸쳐 짚어봤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은 2012년 11월 고가 자기부상열차 방식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타를 통과했다. 그러나 민선 6기인 2014년 새로 취임한 권선택 전 시장이 건설방식을 트램으로 전면 수정했다. 이때부터 표류가 시작됐다. 2016년 10월 요청한 기본계획 변경 승인 등 행정 절차가 제자리걸음을 벗어나지 못해온 것이다. 여러 논란 속 지난해 1월부터 진행된 KDI의 타당성 재조사도 `통과가 쉽지 않다`는 부정적 전망이 난무했다. 그러던 차에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지난해 11월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큰 사업을 대상으로 예타를 면제해주겠다며 사업을 공모했고 시는 트램이 예타 면제 대상 사업에 포함시켰다. 최종적으로 대전 트램이 대상사업으로 선정되면서 4년간의 표류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게 됐다.

방식 변경 이유는 고가 자기부상열차가 1조 3617억 원을 필요로 하는 데 비해 트램 사업비는 6950억 원에 불과한 데다 도심 경관을 해치지 않고 교통약자들이 이용하기에도 상대적으로 편하다는 것이었다.

대전 트램은 2025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한다. 곧 실시설계를 앞두고 있다. 당초 총 사업비 6950억 원(60% 국비 지원)으로 계획됐지만 테미고개 등 일부 노선을 지하화 하기 위해 1000억 원 이상의 추가로 투입된다. 트램은 서대전역-정부청사-유성온천역-진잠-서대전역 37.4㎞ 구간에 36개 역사를 건설해 대전을 순환한다. 설계에 2년 가량이 걸릴 전망인 만큼 공사는 2021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설계를 위한 국비 50억 원을 이미 확보했다.

공사 기간은 그리 길지 않을 전망이다. 노선의 노면을 30-40㎝ 판 뒤 궤도만 깔면 되기 때문이다. 역사 설치도 시내버스 정류장보다 간단하다. 무가선 트램이라서 전력 공급을 위한 별도 전차선도 필요 없다. 다만 지금도 교통혼잡이 극심한 서대전육교 650m 구간은 지하화할 계획이어서 이 구간 공사가 상대적으로 오래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 지상화에서 지하화로 바뀐 테미고개 역시 공기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트램으로 인한 지역 경제의 파급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램 건설과정에서 취업유발효과 1만여 명, 생산유발효과 1조 5000억 원 등 잠정 수치는 이를 대변한다.

예타 면제와 관련해 당시 시는 완전한 순환선으로 건설할 수 있게 된 점, 서대전육교 지하화에 대한 추가 국비 지원을 확보한 점 등을 가장 큰 성과로 평가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트램 예타 면제가 확정된 지난 1월 "트램이 개통되는 2025년이면 대전지역 대중교통 체계에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트램 건설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반색했다.

특히 그는 "트램은 아직 국내에서 건설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기술적인 문제들은 전문기업이나 전문가들의 참여가 불가피하다"면서도 "사업을 세분화해 지역 건설업체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 건설경기를 활성화하고 취업유발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도록 계획하겠다"고 했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