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판 유지 방점

청와대는 6일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도발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면서도, 많은 이목을 끌지 않도록 억제된 `로키(low key)` 대응을 유지하는 모양새다.

청와대는 북한이 지난 4일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하는 도발이후 이틀째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 것이다. 특히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가 미사일인지 여부에 대해선 극도로 말을 아끼는 상황이다.

도발 당일인 4일 청와대는 고민정 대변인의 서면브리핑을 통해 "정부는 북한의 이번 행위가 남북간 9.19 군사합의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으로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북한을 향해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 중단을 촉구했다. 또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정경두 국방부장관, 서훈 국정원장,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 등이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긴급회의를 가진 것과 관련, "긴급회의 참석자들은 비핵화 관련 대화가 소강국면인 상태에서 이러한 행위를 한 데 대해 주목하면서 북한이 조속한 대화 재개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을 기대한다"고도 했다.

하지만 5일에는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았다. 대신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포함해 240㎜, 300㎜ 방사포를 다수 포함한 것으로 파악된다`는 취지의 이날 국방부 발표로 입장을 갈음했다. 6일에도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와 관련된 추가 입장을 전혀 내놓지 않고 있다.

청와대의 이 같은 대응은 북한 발사체가 탄도미사일로 판명되거나, 이로인한 논란이 확대될 경우 자칫 비핵화 논의 틀 자체가 흔들릴 수 있고, 불필요하게 북한이나 미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발사체가 미사일인지 여부를 한미 당국이 결론 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섣불리 입장을 내기보다는 분석에 주력하며 상황을 차분히 지켜본 뒤, 정확히 파악되면 입장을 정리해도 늦지 않다는 인식으로 읽힌다.

다만, 북한의 이 같은 도발에 당황한 기색은 역력하다. 무엇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일 국방부 업무보고에서 남북 9.19 군사합의의 성실한 이행을 강조한 뒤 하루 만에 북한이 이에 위배되는 행위를 했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도 이번 파문이 확산되는 것에 일단 경계하는 분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의 발사체 발사 13시간 만에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은 내가 그와 함께한다는 것을 알고 나와의 약속을 깨고 싶어하지 않는다"며 "합의는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또 "김정은은 북한의 대단한 경제 잠재력을 완전히 알고 있고 이를 방해하거나 중단할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서울=송충원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