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강원도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이재민이 속출하고 수 십 년 정성들여 가꾼 산림이 불타는 등 막대한 재산 피해를 입었다. 범정부적인 산불 대응과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원들의 노고로 조기 진화된 게 그나마 작은 위로가 된다. 하지만 산불 피해지에 남은 우리 국토의 쓰라린 상처는 지울 수 없는 고통으로 남았다.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이런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불예방시스템을 통한 산불 예방과 산불 조기 대응을 위해 다각적인 산림과학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런데 예방과 조기 대응 이후 우리는 어떤 이야기를 이어나가야 할까? 이미 훼손돼 버린 산불 피해지를 복원해 다시 이 땅에 희망을 심는 일 또한 산림과학이 해나가야 하는 중요한 역할이다.

황폐해진 산불 피해지가 산림의 골격을 다시 갖추는 데만 30년, 생태적 안정 단계에 이르기까지 최소 100년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산림 복원 연구에는 최소 30년 이상의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불 피해지 복원기술 개발과 산불 발생 후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등 연구를 수행 중이다.

1996년 발생한 고성 산불과 2000년 동해안 산불을 기점으로 고성군과 삼척시 일원에 장기 생태연구지역을 설정하고 식생, 지표지질, 곤충, 수서생물, 야생동물 등 산불 피해지 생태계 변화와 회복 모니터링을 통해 20년간 산불 피해지 복원 연구를 해왔다.

산불피해지 복원 연구는 자연적 복원, 인공적 복원 중 적합한 복원 방법을 선택하거나 산불에 강한 수종을 선정해 내화수림대 조성, 내화성 증진사업을 통해 지속할 수 있는 산림자원 관리지침 발간 등 산림관리 정책을 뒷받침해 왔다.

산림청과 강원도는 산불피해지 내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응급 복구에 힘쓰고 있다. 산불 피해 이전의 건강한 숲으로 되돌리기 위한 산림복원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다행히 산림복원 사업의 실효적 추진에 필요한 법.제도적 근거가 마련돼 국립산림과학원에서도 산림복원 및 평가 기술 개발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오늘의 시련을 내일의 희망으로 만드는 구체적인 실천이 바로 산림 복원이다. 산림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산림 복원은 우리 숲을 살리고 숲속의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과정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전범권 국립산림과학원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