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와 사회적 쇠퇴가 두드러진 대전시의 도시재생 사업 배제율이 유독 높다. 국토연구원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도시재생 뉴딜의 전략적 추진` 보고서에 따르면 시는 쇠퇴 심각성 대비 뉴딜사업 추진 배제율이 44.9%로 전국 시·도 중 불명예 1위에다. 전국 평균이 23.8%인 걸 보면 배제 정도가 지나치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0%를 기록한 세종시나 충남도 22.3%와 뚜렷히 비교된다. 충북도 전국 평균 보다 높다지만 25.1% 수준이다.

원도심을 중심으로 대전의 많은 지역에서 도시재생 요구가 크지만 실제 사업이 추진 중인 곳은 손에 꼽을 정도다. `중앙로프로젝트 마중물 사업`의 경우 2020년까지 국비 180억 원을 포함 모두 360억 원을 투입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기대가 크다. 도시재생 `사업화 지원비` 공모사업에 선정된 중구 중촌동 및 유성구 어은동이나 대덕구 오정동 `청춘스트리트` 등의 사업도 있지만 도시재생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지역이 훨씬 많다.

도시재생 사업은 도심 내 쇠퇴한 지역을 대상으로 고용 기반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주거·상업·공공시설 등 여러 사업을 복합적으로 연계해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대전역세권 개발과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중앙로사업에서 보듯 쇠퇴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환경을 개선하고 주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 전문가가 고루 참여하는 민관 거버넌스로 사업을 따내는 전략 수립이 절실하다.

도시재생은 개발 측면 보다 도시를 재구조화하는 것인 만큼 실행 계획을 촘촘하게 짜는 게 기본이다. 보고서의 제안대로 쇠퇴 심각지역은 기초생활인프라 기반 조성과 물리적 정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거지 정비나 상권 활성화 같은 문제는 지역에 자율성을 부여해 주체적으로 해결해나가도록 하는 역할분담도 아쉽다. 자치단체와 주민이 손잡고 도시재생 취지와 지역 특성에 맞는 모델을 발굴해야 사업 모멘텀을 살려 나갈 수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