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정치권도 내년 21대 총선을 향해 `예열`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여야 불문하고 큰 틀에서 일단은 중앙당과 보조를 맞춰나가면서 변화를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역대 총선에서 대전시민의 투표 행태는 특별한 변수가 발생하지 않는 한, 한쪽으로 쏠림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이런 탓에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을 이른바 `캐스팅 보터`로 일컬어 온 게 사실이다.

지금 시점에서 내년 총선도 20대 총선 지형이 재연될 가능성이 적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공천 탈락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아무래도 현역 의원들의 강세 구도가 쉽게 와해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이변`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7개 지역 선거구별로 여야 모두 인적 대진표를 잘 짜면 의외의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는 것인데 이론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계산법은 엄밀한 의미에서 선거공학적 색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게 맹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시민·유권자들의 냉철한 현실 인식과 각성이 요구되는 선거가 내년 총선이다. 20대 국회에서 지역 의원들이 대전 이익을 제대로 대변해 왔는지부터 따져 봐야 하고, 그 결과 물음표가 지워지지 않는다면 `손절매` 같은 생각이 들더라도 망설이지 않았으면 한다. 이와함께 여야 균형추 논리에도 필요 이상 얽매이지 않아야 한다. 여야 의석수가 4대 3이나 혹은 3대 4가 그럴듯해 보일 수는 있지만 그게 지역의 정치적 확장성을 담보하지는 않는다는 게 경험칙이다.

대전 각 정당과 유권자들과는 상당한 긴장관계에 놓여야 한다. 각당이 후보를 공천하는 것은 내부의 문제일 수 있으나 표는 유권자들이 쥐고 있고 행사한다. 따라서 단위 선거구 논리나 이미지 선호 투표 등 구태에 경도되는 것은 곤란하다. 애매한 대전의 지정학적 위상, 아울러 달라지지 못하고 있는 뜨뜻미지근한 대전의 현실을 그냥 넘어가면 안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