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대덕구 "수목 가지치기뿐 도시계획시설이라 해체 어려워”

대전시 유성구 궁동네거리 인근의 완충녹지. 사람키의 두배를 훌쩍 뛰어넘을 정도로 높게 조성돼 있다. 사진=서지영 기자
대전시 유성구 궁동네거리 인근의 완충녹지. 사람키의 두배를 훌쩍 뛰어넘을 정도로 높게 조성돼 있다. 사진=서지영 기자
도로 소음과 분진 등을 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완충녹지가 오히려 주민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대전의 관문`으로 불리는 유성구 장대동 인근. 이곳은 동네 일부를 완전히 가로막는 완충녹지로 주민들의 불만이 높다.

장대동의 한 주민은 "완충녹지가 너무 높아 주거지 사이 공간이 어둡고 위험하게 느껴진다"며 "인적이 드문 밤 시간에는 우범지대로 전락할 우려도 있다"고 걱정했다.

인근에서 상가를 운영하는 다른 주민은 "건물 1층 상가는 (도로 쪽에서) 간판이 보이지 않아 영업에 방해를 받고 있다"며 "수 년 째 구청에 완충녹지를 낮춰달라는 요구를 해왔지만 고쳐지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구에 따르면 궁동네거리 인근 주택가는 한밭대로와 가깝다는 이유로 1998년 조성 당시 환경영향평가에 따라 완충녹지가 넓게 만들어졌다. 이 지역 완충녹지는 마운딩(흙을 쌓아 올리는 작업) 형태로 조성됐다.

이 언덕의 높이가 4m에 달해 주거지역 보호 수준을 넘어 `고립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완충녹지 조성 당시 심은 나무들이 자라나면서 마운딩 높이 이상의 시야를 가리고 있는 상황이다.

타 자치구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덕구 송촌동, 중리동 등에도 주민들의 시야와 생활에 불편을 끼치는 언덕 형태의 완충녹지가 다수 있다.

송촌택지개발 당시 만들어진 완충녹지로 인근 상가는 `불필요하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일부 아파트 주민들은 `존치`를 주장하기도 하지만,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공해와 소음 등을 차단한다는 애초 목표는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 의견이다.

이런 문제점이 오랜 기간 불거지고 있지만 현실적인 대안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자치구별로 각각 다른 완충녹지 조성 기준과 언덕 형태의 완충녹지를 대체할 방안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완충녹지가 도시계획시설인 탓에 해체는 쉽지 않다는 게 시·구청 등의 공통된 설명이다. 대신 웃자란 나무에 대한 가지치기만을 유일한 대안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한 자치구 공원녹지과 관계자는 "마운딩에 심겨진 나무에 대한 가지치기 작업을 2년에 한 번씩 하고 있다"며 "도시계획시설이라서 쉽게 손을 댈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일각에선 `완충녹지 조성에 오랜 시간이 지난 만큼 환경영향평가를 재실시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같은 논리로 마운딩 높이를 낮추거나 완충녹지 역할을 대신 할 산책로 조성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