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김홍장 당진시장이 17일 인천항 제8부두 상상플랫폼 세미나실에서 열린 제3차 도시재생 광역협치포럼에 참석해 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사업 형태로 추진 중인 도시재생뉴딜사업의 개선방안으로 `맞춤 제안형`을 제시했다.

`맞춤 제안형`은 도시재생뉴딜사업의 5가지 유형의 기준을 각 지방정부의 형태와 규모에 맞게 탄력적으로 적용하자는 것이 핵심이다.

김 시장이 이처럼 맞춤 제안형을 제시한 이유는 수도권이나 광역도시, 산업중심지 등 대도시만이 사실상 현행 도시재생뉴딜의 5가지 유형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반면 대다수를 차지하는 전국의 중소도시는 인구와 면적, 경제적 여건을 고려했을 때 5가지 기준 유형을 모두 충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그는 5가지 유형 중 `중심 시가지형`의 경우 면적 제한을 보다 탄력적으로 적용해 지방 중소도시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대상지 특성` 또한 주거와 상업, 산업이 혼재한 중소도시 현실에 맞게 중심시가지형의 특성을 기존의 `상업지구` 형태 보다는 `원도심 상권`, `재래시장` 등을 혼합한 형태로도 인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우리동네 살리기`, `주거 지원형`, `일반 근린형` 등의 유형은 읍 소재지와 면 소재지 등의 지역의 거점지역에서 2개 혹은 3개, 나아가 중심 시가지형까지 혼합 적용하는 방식이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도시 및 수도권,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에 적합한 도시재생뉴딜 정책과 인구 10만, 20만 등의 소도시와 군지역의 인구와 재정을 고려한 다양한 방식의 도시재생뉴딜 유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론에서 김 시장은 당진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당진형 주민자치와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이 주민 주도형 상향식 의사결정의 형태를 띠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시가 2018년 시범 도입해 올해부터 14개 읍·면·동 전 지역으로 확대해 실시하는 주민총회 제도와 시민 중심의 도시재생 모델 발굴을 위해 2014년부터 운영 중인 도시재생대학 운영 사례를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차진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