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전염병 관리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홍역 환자 발생이 확산되는 가운데 초등 대응이 허술했기 때문이다. 시는 대전의 한 소아병원에 입원했던 생후 7개월 된 아기가 홍역 확진을 받은 날은 지난 2일로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달 28일이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기초 관계부터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시가 홍역 발생 사실을 인지한 것도 1주일 이상 지난 5일의 일이다.

첫 확진자 주소가 충남 공주여서 통보가 지연된 탓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지만 그 사이 환자는 계속 늘었고, 영유아를 둔 부모들은 불안에 떨어야 했다. 소아병원에서 촉발된 환자수가 12명으로 증가할 때까지 보건 당국의 손길은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 병원에서 실습 중이던 23세 남성까지 홍역에 감염된 상황이고 보면 부실한 초기 대응의 문제점을 짐작케 한다. 제 때 손을 못 썼으니 전염병 확산을 막지 못한 것은 예고된 수순이다.

홍역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언제든 유행할 수 있어 지방자치단체와 보건 당국의 철저한 관리가 필수다. 2001년 대유행 이후 감소세라고는 하나 소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이다. 전염성이 높은 데다 영·유아와 성인을 가리지 않고 발병한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해외 유입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이미 발생한 환자 치료는 물론 확산을 막기 위한 대응책을 적극 마련해야 한다.

2014년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홍역 퇴치 인증을 받고 방심한 게 아닌 지 돌아보게 한다. 봄철은 확산 위험이 커지는 시기인 만큼 효과적인 홍보와 예방 활동이 중요하다. 소 잃고라도 외양간은 단단히 고쳐야 한다는 얘기다. 의료기관 내 감염 차단과 환자 보호·격리에 빈틈이 있어서는 안 되겠다. 2차 감염 차단이야말로 확산을 막는 지름길이다. 시민들로서는 개인 위생에 더욱 신경을 쓰면서 의심 증세가 나타나면 곧바로 의료기관에 가야 한다. 후진국형 질병으로 만만히 봤다가는 큰 코 다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