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늘(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김정은 북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 대통령의 하노이 핵 협상이 결렬된 이후 한미가 비핵화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되는 만남이다. 비핵화 협상이 한동안 유화 국면을 이어가다 교착 상태로 급전직하한 뒤 한미 정상이 얼굴을 맞댄다는 점에서 북미 간 대화의 불씨를 살리는 게 급선무라고 하겠다. 문 대통령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전망이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미국은 일괄타결과 모든 핵무기 및 물질, 시설 제거의 초스피드 실행을 내세우는 반면 북한은 단계적 해법에 초점을 맞추고 제재 완화를 요구하고 있어 이견차가 뚜렷하다. 김 위원장이나 트럼프 대통령 모두 상대에게 신뢰감을 유지하며 톱다운 방식의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고는 하나 속내는 알 길이 없다. 회담이 `정상 내외 간 친교를 겸한 단독회담과 핵심 관료가 배석하는 확대 회담 겸 업무 오찬`이라는 형식도 걸린다.

중재·촉진자 역을 자임하는 문 대통령이 성과를 내려면 북한의 전향적 태도 변화가 필수다.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열리는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와 최고인민회의를 지켜보게 되는 이유다. 김 위원장은 어제 열린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긴장된 정세`에 대처하기 위해 자력갱생 등을 바탕으로 새 전략노선을 관철하라고 주문했다. 하지만 기존의 입장을 고수해서는 김 위원장이 그토록 희망 하는 반대급부가 없음을 알아야 한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북미 두 정상이 3차 회담 의지가 있는 것만은 분명한 만큼 대화 모멘텀을 만드는 게 절실하다. 다만, 회담 형식으로 미루어 보아 깊이 있는 대화가 이루어질 지는 미지수다. 자칫 정부의 절충안인 `포괄적 비핵화 합의와 단계적 동시 이행`을 놓고 한미 간 이견이 노출될 수도 있다는 건 부담이다. 굳건한 한미동맹을 재확인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고 `비핵화 절충안` 관철을 위한 문 대통령의 외교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