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밥상`, `건강밥상` 열풍으로 친환경 농산물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전국적으로 `로컬푸드 운동`이 불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각 지자체에서는 정책 도입 등을 통해 로컬푸드산업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로컬푸드 운동은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운동이다.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거리를 최대한 줄여 먹거리의 안전성 확보 및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함이다.

충청남도 로컬푸드는 대도시 몇몇 매장을 제외하고는 연간 매출액이 10억원 미만의 소규모로 장기간 출하되는 지역 농산물의 수가 적다. 또한 특정 상품을 납품하는 농가 수의 제한이 없다보니 농가 간의 과다한 경쟁으로 수익이 줄어드는 구조이다. 이에 어렵게 농사를 짓고 있는 고령농업인 및 소농업인들의 설움은 늘어나고, 농사를 포기하는 안타까운 사례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지역 먹거리에 대한 생산 및 유통, 소비활동 등을 하나의 선순환 체계로 묶어 관리 할 수 있는 `푸드플랜`이 수립돼야 하며, 푸드플랜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로컬푸드`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로컬푸드가 활성화 되지 못한 상태에서 세워진 푸드플랜은 사상누각으로 성과없는 플랜으로 남을 우려가 크다.

현재 지역에서 생산된 농식품의 자체소비율은 10.1%에 불과하다.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로컬푸드를 통해 지역 농식품의 유통을 극대화시킨다면 제대로 된 푸드플랜 수립이 가능해 진다.

또한 현재 로컬푸드 사업 대부분은 지역농협 위주로 활성화 돼 있어 지역농협을 통한 농민과의 상생 협력을 통해 푸드플랜을 준비해 로컬푸드를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지역농협은 오랜 기간 동안 판매사업을 통해 농민들과 돈독한 신뢰를 쌓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십분 활용해 지역농협이 농민을 위한 농식품 사업의 동반자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이러한 신뢰와 건전한 경쟁이 바탕이 된 농식품은 안정적인 가격과 신선도를 유지해 소비자들에게 연중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산물 유통은 SNS 이용자 증가 및 택배 산업의 발전 등으로 온라인 판매가 급성장·다변화 되어가고 있으나 대형마트 신선농산물 매출액은 주춤해지고 있다. 이에 농협은 매출 향상을 위해 신용·경제 사업을 분리하고, 판매 사업에 주력할 수 있도록 조직을 재편했으며, 이러한 조직 재편으로 농산물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나아가 대형마트 농산물 공급의 주요한 주체로까지 성장세를 꾀하고 있다.

푸드플랜은 전쟁과도 같은 거시적 유통의 흐름 속에서 안정적인 공급 계획부터 수립해야 할 것이다. 푸드플랜이 공급 농가와 소비자 모두에게 혜택이 되는 많은 장점이 있어 성공에 대한 믿음도 커져있다. 하지만 노력 없이는 이러한 믿음이 오지 않을 것이다. 수요와 공급의 다양한 변수로 가격을 예측하기 어려운 농산물의 특성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된다.

푸드플랜은 로컬푸드 사업을 재점검해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고민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사업 책임자는 생산 농가와의 소통 및 자율성 부여로 자생력을 높이고 연중 공급을 위한 `작부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현장 위주의 점검으로 농가와의 신뢰도 향상으로 상품의 다양화를 꾀해야 할 것이다.

몇 차례의 회의를 통해 의견을 나눈다고 `푸드플랜`은 완성되지 않는다. 천천히 기초부터 다지며 준비해야 제대로 된 푸드플랜이 수립될 것이다.

김기서 충남도의회 농업경제환경위원회 의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