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차례 무산된 대전역세권개발사업(복합 2구역)의 사업 조건이 대폭 완화된다.

대전시는 민간기업 유치를 유도하기 위해 상업지역 비율을 줄여 문턱을 낮추기로 하는 등 수요자 중심으로 사업 공모를 진행할 방침이다.

하지만 사업성을 담보하거나 유동인구를 확보할 수 있는 앵커시설 등 대형 개발호재가 없는 탓에 난항은 여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4일 시와 코레일 등에 따르면 대전역세권개발사업 민자유치를 도모하기 위해 민간사업자의 자율적 사업계획에 맞춰 공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공모에 관심을 가졌던 민간사업자가 상업부지 비율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는 상업부지 비율을 낮추는 방안을 모색, 민간사업자가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율적 판단에 맞춰 부지 비율을 조정키로 했다. 사업자 입맛에 따라 상업지역 비율을 조정하겠다는 의미다.

최근 3차 공모에서 대전역복합 2구역 부지와 복합환승센터 부지용도비율은 상업지역 75%, 주거지역 25%로 조건을 제시했다. 조건대로라면 상업부지 규모는 2만 4793㎡로 용적률이 1100%인 점을 감안하면 27만2723㎡인데, 이 부지를 상업지역으로 조성한다는 것에 사업자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2008년과 2015년 진행된 1·2차 공모의 경우 상업지역 100%로 진행됐다.

정무호 시 도시재생주택본부장은 "대전역세권개발사업 민자유치가 세 차례 무산되면서 사업자들의 공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4차 공모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조건으로 공모를 진행할 방침"이라며 "코레일과 논의가 이뤄져야겠지만 사업 계획이나 공익적인 부분을 강화하더라도 우선 사업자 유치가 우선이기 때문에 이 같은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가 밝힌 후속조치가 민간사업자의 관심을 높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난 3차 공모에서 한 건설사가 유동인구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인 앵커시설으로 선상야구장 건립을 조건부로 제시했지만, 결국 중구로 야구장이 선정되면서 이마저도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당분간은 선상야구장 수준의 앵커시설을 구축할 대안도 마땅치 않다. 용도비율 또한 3차 공모에서 1·2차 공모보다 상업지역 비율을 줄였지만, 결국 무산되면서 이 같은 조치가 과연 민간사업자의 구미를 당길 수 있을지도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앵커시설 확보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는 것은 맞지만 현재로서 지역에서는 이 같은 대형호재가 마땅치 않은 게 사실"이라며 "우선 상업부지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것에서 출발해 코레일과 협의를 거쳐 이르면 올 하반기 쯤 대전역세권개발사업을 본 궤도에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