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10여 년간 중구, 동구 등 원도심 살리기 위해 수천억 원의 자금 투여

[사진=대전일보DB]
[사진=대전일보DB]
대전지역 원도심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중구와 동구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달된 타 자치구에서 공동화현상이 일어나는 등 또 다른 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전 원도심(중구, 동구)을 살리기 위해 도시재생뉴딜사업 등 막대한 자금이 투여되고 있지만 성과가 미비해 실효성을 묻는 의견도 있다.

14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지역 5개구에서는 2025년까지 52건의 공공 개발사업이 추진된다.

이 중 25개의 사업은 중구와 동구에서 진행되고 있다. 도시재생뉴딜사업부터 주거환경개선사업, 공공임대주택, 도로 개설 등 사업비만 볼 때 수천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하지만 공공 부분의 사업이 대거 이뤄진다고 해서 이들 지역이 획기적으로 경쟁력을 갖출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다. 이들 지역에서는 이미 으능정이 스카이로드, 목척교 복원사업, 중앙로와 대전역 현대화 사업, 옛 충남도청 활용방안 등의 대형 사업이 완료됐거나 진행중이지만 인구유입 등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가시적인 성과로는 연결되지 않았다. 결국 대형 공공프로젝트가 `원도심`이라는 낙인을 지우지는 못했다는 얘기다.

문제는 타 기초단체에서도 도심 내 공동화현상이 일고 있다는 점이다.

서구의 경우 도마동, 정림동, 변동, 괴정동, 가장동, 용문동 등은 공공부분의 투자마저 기존 원도심에 견줘 작은 규모로 이뤄져 도심 낙후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서구청도 이들 행정동을 원도심권으로 묶어 도심에 활력을 불어 넣으려 하지만 재정 여건 등 난항을 겪고 있다는 입장이다.

장종태 서구청장은 "우리 구의 원도심 지역으로 불리는 곳에는 공공권의 개발이 30년 이상 이뤄지지 않고 있어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 곳의 낙후 수준은 중구와 동구 못지 않는다. 특히 이 곳 인구만 20만 명에 달한다. 이 곳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장 청장은 "원도심 지원 결정에서 서구는 아예 논외되고 있다. 재개발과 재건축 뉴딜사업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이에 대한 대전시의 정책적 지원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유성구에서는 구암동, 장대동, 교촌동, 원내동, 송강동, 봉산동 지역이 낙후지역으로 꼽힌다. 대덕구 역시 송촌동, 신탄진동, 읍내동 등이 공공 개발사업들이 요구되는 곳이다.

`2025년 대전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보고서를 보면 대전 지역에서 매우 쇠퇴한 지역은 13개 동, 쇠퇴지역은 14개 동, 정체지역 24개 동 등으로 전체 79개 행정동 가운데 51개 동이 쇠퇴내지 정체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대부분은 중구와 동구지역으로 포진해 있지만 서구와 대덕구, 유성구 일부지역도 다수 포함됐다는 점에서 원도심의 새로운 정립 필요하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보고서는 앞으로 균형발전과 지속가능한 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쇠퇴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정책 방향과 재생유형 및 사업을 어떻게 추진하는 지 매우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동구와 중구로 대변되는 원도심의 재정립이 시급하다고 진단한 셈이다.

전문가들도 원도심에 중점적인 도시재생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하면서도 타 지역의 낙후지역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희권 충남대 교수는 "원도심은 대전의 태생이기 때문에 가능한 뿌리가 지켜져야 한다고 본다"며 "지역 토지주, 이해관계자들이 도시재생을 위해서라면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신 교수는 "원도심외 지역에도 관심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전의 재정이 여유로운 상황이 아니고 인구가 급격하게 늘 것도 아니기 때문에 시와 자치구가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결부된 도시재생 방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