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백제보, 세종보, 공주보 [사진=환경부 제공]
(왼쪽부터)백제보, 세종보, 공주보 [사진=환경부 제공]
금강유역 세종·공주보 철거를 비롯 백제보 상시개방이 권고된 가운데 금강유역환경청이 용수확보를 주된 내용으로 담은 후속조치를 공개했다.

이번 조치는 농업용수 확보에 비상이 걸린 농민 반발을 염두에 둔 것으로 금강보 지하수 전수조사와 백제보 물이용 항구대책이 추진될 예정이다.

하지만 국가물관리위원회의 4대강 보 최종결정이 오는 7월로 예정된 상황에서 후속조치에 쓰이는 시간이 불과 3개월에 불과해 졸속 추진 우려가 높은 상황.

금강유역환경청은 14일 대전 서구 둔산동 인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금강유역 보 처리 관련 후속조치`를 발표했다.

후속조치는 세종보의 경우 양화취수장 취수구 항구대책, 공주보는 지하수 전수조사와 백제문화재 등불향연 등 지역 관광산업 대책이 담겼다.

수막재배 농가가 많아 물 부족 사태가 클 것으로 예견된 백제보는 `지하수 등 물이용 항구대책`을 수립, 양수장과 지하수 확보가 이뤄진다.

문제는 금강 3개보 최종결정이 3개월 앞으로 다가온 상태에서 후속조치 조사 및 대책이 실효를 거두기까지 시일이 촉박하다는 것.

공주보 지하수 전수조사의 경우 지난달부터 이달까지 진행돼 보 해체 이후 농번기 용수 문제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백제보 `항구대책`의 경우 추진 일정조차 가늠치 못했다.

구체적인 시기와 추진방안 없이 `물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양수장, 지하수 등 대책을 사전에 마련한 후 처리방안을 이행`한다는 내용만 대책에 담겨 있었다.

최악의 경우 물이용 후속조치가 오는 7월 보 상시개방 결정 이후에도 제대로 이행치 못할 가능성도 있는 셈.

이에 대해 금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공주보는 지난해 12개 지하수 관측정을 통해 수위를 살폈고, 벼농사 위주의 영농구조로 지하수 활용이 크지 않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백제보는 임시 대책으로 관정 사용을 추진했고, 지하댐 건설 등 수막재배에 필요한 지하수 공급 대책을 검토 및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