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 일제 잔재 여전

1919년 3월 1일 서울시내에는 함성소리가 울려 퍼졌다. 이 함성소리는 서울뿐만 아니라 평양, 진남포, 안주, 선천, 의주, 원산 등 전국 7개 도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다. 바로 100년 전 오늘 일제 군홧발에 짓밟혔던 민중이 들불처럼 들고 일어나 조선의 독립 의지를 세계만방에 천명한 3·1만세 운동이었다.

3월 1일 서울의 만세운동은 새벽에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정오 무렵부터 학교를 빠져나온 학생들은 탑골공원에 집결했다. 여기에 종교계 인사와 농민 등이 가세하면서 탑골공원에는 3000-4000명의 민중이 운집했다. 이날 오후 2시 수천 명이 운집한 탑골공원에서 조선은 자주독립국임을 선언하는 독립선언서가 울려 퍼졌다.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학생들과 종교인 등 수천 명은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가행진을 시작했다.

만세운동은 두 달이 넘게 전국 방방곡곡으로 이어졌다. 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일제의 탄압은 극에 달했다.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 따르면 200만 여명이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당시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들 중 7500여 명이 살해당했고 1만 6000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 또 49개의 교회와 학교, 715가구의 민가가 불에 탔다. 무려 4만 6000여 명에 검거됐고 이중 1만 9054명이 검찰로 송치됐다. 이 중 7800여명이 유죄 판결을 받아 무고하게 체포 구금돼 고초를 겪어야 했다. 독립된 대한민국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100년 전 독립만세를 외쳤던 민중들의 용기 있는 행동을 기억하고 독립운동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야 하는 이유다.

조선의 자주독립을 외쳤던 3·1운동은 수많은 희생만 남긴 채 끝나는 듯 했다. 그러나 3·1운동은 훗날 항일독립운동과 상해임시정부 수립의 발단이 됐다. 또 2차 세계대전 후 서구 열강들이 독립국가로 인정하는 단초가 됐다.

하지만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우리 주변 곳곳에는 일제의 잔재가 여전해 씁쓸하다. 100년 전 목숨을 걸고 자주독립을 외쳤던 선조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계승하자는 취지가 무색해 지는 대목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가 최근 발표한 `학교 내 친일잔재 조사` 1차 결과에 따르면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인사를 기리는 기념물이 있는 서울 초·중·고교와 대학은 7곳에 달한다. 교가 작사·작곡에 친일인사가 참여한 학교는 초등학교 18곳과 중·고등학교 95곳 등 113곳이었다.

충청지역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충남도내 713개 초·중·고교를 전수 조사한 결과 29개 학교가 일본인 학교장 사진 등을 공개적인 장소에 게시했다. 친일경력자가 교가를 작곡·작사한 학교도 각각 31개교에 달했다.

충북도내 376개 학교에서도 친일 음악가들이 작사·작곡한 교가를 사용하는 학교가 19곳이나 된다. 이들 학교는 친일파인 현제명이 작곡하고 이은상이 작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렇다고 일제 잔재 청산이 요원한 것만은 아니다.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올해 교육현장에서 친일 흔적을 지우는 작업들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충남도교육청은 개학 이전에 학교에 게시된 일본인 교장 사진을 철거한 뒤 역사교육 자료로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충북도교육청은 `역사 바로 세우기 추진단`을 조직해 친일 음악가가 작사·작곡한 교가를 찾아내 교체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도 일제 잔재인 `유치원` 명칭을 `유아학교`로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의 미래인 학생들이 3·1운동 그날의 함성을 기억하고,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하도록 교육현장에서 일제 잔재 청산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들 말한다. 3·1운동 100돌을 맞아 일제 잔재 청산은 독립된 조국에서 살아가는 후손들의 책무이자 사명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김진로 지방부 청주주재 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