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출자한 항공정비(MRO) 전문업체를 통해 국내 항공기 정비를 비롯 군용기, 해외국적 항공기 정비 등 해외시장 진출이 이뤄질 전망이다.

국내 정비업체 부재로 정비물량 대다수를 해외에 맡겼던 국내 항공사들도 국내정비가 가능해짐에 따라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항공서비스㈜는 경남 사천에서 21일 첫 민간 항공기 정비입고 및 사업착수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한국항공서비스(KAEMS)는 국토부 사업계획 타당성 평가를 거쳐 2017년 12월 정부지원 항공 MRO 사업자로 선정된 KAI(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공항공사, BNK금융지주, 하이즈항공, 에어테크,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등 7개 기업이 자본금을 투자해 설립됐다.

이중 정부지원은 한국공항공사가 269억 원을 출자했으며, 항공기 기체와 엔진, 부품에 대한 정비를 전문으로 맡게 된다.

이와 함께 항공정비 사업착수에 앞서 국토부 정비능력인증 심사와 국내 LCC(저비용항공) 항공사인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실시한 항공기 정비품질 심사결과 항공기 정비 능력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확인했다.

한국항공서비스는 이번 사업 착수를 계기로 국내 항공사를 대상으로 한 정비수주를 시작해 올해 안에 국내 LCC 항공기 19대 및 군용기 정비물량 등 90억 원 규모를 수주할 계획이다.

미연방항공청 항공기 수리사업장 인가를 취득하는 오는 7월부터는 중국, 일본 등의 국적항공기를 수주하는 등 해외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한국항공서비스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항공중심 산업단지가 2022년까지 조성되는 점을 고려, 이를 토대로 2026년까지 일자리 2만개, 5조 4000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창출이 일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항공사들도 국내 정비업체 부재로 절반 이상의 정비물량을 해외에 맡기던 문제 또한 한국항공서비스 사업 착수로 국내정비가 가능해져 2026년까지 1조 6800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권용복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한국항공서비스의 본격적인 항공 MRO 사업 착수는 자가 정비체계에 머물렀던 국내 항공 MRO 산업을 전문기업 중심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며 "청년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MRO 전문기업에 대한 관세감면 등 세제지원, 연구개발 기술지원 등을 포함한 지원정책을 추진해 산업육성에 나설 방침이다.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