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치 않은 뒷맛이다. 텁텁하다. 처음부터 끝맺음까지 시비거리다. 서산시 첫 공론화 얘기다.

전임 시장이 추진한 서산시자원회수(소각)시설에 대해 맹정호 시장이 지난해 6·13지방선거에서 한 시민단체와 재검토를 약속, 당선이 된 뒤 그의 인수위격인 `시민의 서산 준비기획단`에서 자원회수시설의 원점 재검토를 위한 공론화 과정을 거칠 것을 권고하면서 첫 공론화는 그렇게 시작됐다.

시가 이 시설의 입지를 결정한 뒤 고시까지 마친 상황에서 맹 시장이 `시민들의 의견을 더 듣겠다`는 의지에 수년 간 추진한 행정의 연속성은 헌 짚신 짝이 됐다.

그렇게 시작된 공론화는 첫 단추부터 논란을 불렀다.

자원회수시설공론화위원회 위원들 구성이 한쪽으로 편향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선수가 심판이 된 꼴이었다.

이를 의식한 듯 공론화위원들은 비교적 공정한 심판에 신경 쓴 면이 엿보였다. 이 시설의 `계속 추진`과 `추진 중단`의 열쇠를 쥔 시민참여단 찬성 35명, 반대 35명, 중립 35명 등 105명이 꾸려졌다.

그런데, 9일 1차 토론회에서 시민참여단 25명이 빠졌다. 모집군 비율이 맞지 않아 가중치까지 부여하면서 시민참여단을 어렵게 구성을 했고, `꼭 참여하겠다`고 확답을 받은 시민참여단이기에 이렇게 많이 빠질 줄 공론화위도 예상 범위 밖이었다. 공론화위가 순진한 건가 아니면 안일한 건가. 1차 토론회 불참자가 16일 2차 토론회 참여할 수 없다는 원칙에 따라 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2차 토론회에서도 10명이 불참했다.

결국 70명이 최종 투표에 참여, 가중치까지 합쳐 54.3%로 `계속 추진`으로 무게가 실렸다. 결과를 지켜본 많은 기자들은 사전 시민참여단의 적은 표본 추출과 함께 70명이 18만 시민의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냐는 문제 제기를 했다. 신기원 공론화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원전공론화와 대전월평공원공론화에 참여한 시민들의 수를 지적, 들리기에 선방했다는 뜻으로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

그렇게 일단락 될 것 같은 첫 공론화는 반대측에서 불공정한 공론화 결정 등을 이유로 무효를 주장, 목숨 건 투쟁을 선언하면서 혼란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다만 반대측의 요구로 공론화가 진행된 만큼 승복하는 게 맞다고 본다.

어찌 됐든 맹 시장은 시민참여단의 `계속 추진` 권고를 수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상과 현실은 늘 배척되기에 첫 공론화에 후한 점수를 주기 어렵다.

그럼, 맹 시장이 공약한 서산공용버스터미널 이전 공론화는 또 어찌 될까.

박계교 지방부 서산주재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