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기 증후군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초등학교 2학년이 되는 자녀를 둔 주부 김모씨는 얼마 남지 않은 개학이 벌써부터 두렵다. 지난해 이맘때의 악몽이 생각나기 때문이다. 아이는 아침만 되면 배가 아프고, 머리가 아프다며 학교에 가기 싫다고 호소했다. 달래보기도 하고 윽박지르기도 했지만 등교를 꺼려해 김씨의 속을 태웠다. 많은 아이들이 새 학기 증후군을 경험한다. 새 학기 증후군의 대표적인 중상은 두통이나 복통, 무기력, 수면장애, 식욕부진, 외출거부 등이다.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도움말로 새 학기 증후군에 대해 알아본다.

◇학교가기 싫어요= 보통 초등학교 신입생은 학교에 가는 것을 어색해하고 불편해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적응하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학교에 가는 것을 두려워해 등교 시간만 되면 어디가 아프다고 호소하면서 학교를 가지 않으려고 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이를 `새 학기 증후군`이라는 용어로 많이 불리고 있다. 새 학기 증후군의 사전적 의미는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나는 부적응 양상으로 새로운 환경과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증상을 뜻한다. 또 단순히 학교에 가기 싫다고만 하는 것을 넘어, 선생님이나 친구들에 대한 불평을 쏟아 내거나 아침에 유독 일어나는 것을 힘겨워 하고 짜증을 잘 내며 잦은 복통이나 두통 등을 호소한다.

◇분리불안이 원인= 새 학기 증후군 증상이 나타나는 아이들은, 먼저 분리 불안이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분리 불안은 학령기 아동의 3-4% 정도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청소년에서도 1% 정도는 분리 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분리불안의 원인으로는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대표적이다. 애착관계가 안정적으로 형성돼 있으면, 아이는 정서적으로 안정돼 학교 생활에 큰 어려움이 없이 잘 적응해 나가지만, 애착관계가 불안정하고, 부모로부터 충분한 사랑과 공감을 받지 못한 아이는 새롭고 낯선 환경에 대해 어려워한다.

또 분리 불안이 있는 아이들은 부모가 눈에 안보일 경우 지속적으로 지나친 걱정을 하거나, 갑자기 어떤 일이 닥쳐서 부모와 헤어지게 되지 않을까 끊임없이 걱정한다. 이로 인해 집을 벗어나 학교에 가지 않으려 하고, 부모가 없이 집에 있는 것이나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며, 부모와 떨어지지 않으려 하는 모습 등을 보인다.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심어야 = 아이가 학교를 가기를 거부할 때 꾀병을 부리는 것으로 치부해 엄하게 혼을 내고 질책해서 학교를 보내거나, 아이가 바라는 대로 학교에 보내지 않고 집에 있게 하는 행동은 좋지 않다. 이는 아이가 불안을 더 느끼게 만들거나, 아이의 불안이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좋은 방법이 될 수 없다. 학교를 가지 않을 때는 무턱대고 지켜보기 보다는 다각도의 방법을 찾아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일 학교에 있는 것을 힘들어 하면 담임 선생님과 상의를 해서 1교시 까지만 학교에 머무르게 하고, 차차 그 시간을 늘려가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학교에 대한 인식을 바꿔주는 것도 필요하다. 학교에 대해 `규칙을 지켜야 하고, 말을 잘 들어야 되는 곳이다`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은 학교에 대해 부정적인 선입견을 심어주는 결과를 초래한다. 학교는 `친구들과 재미있게 지내는 곳`이라고 언급해주는 것이 좋고 주말에는 가족들이 같이 학교 운동장에 놀러 가서 노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학교라는 건물과 공간에 익숙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규칙적인 생활 습관도 중요= 아침에 아이를 학교에 보낼 때 꼭 안아준다거나 비밀 인사법을 만들어 조금은 재미있게 인사하는 것도 작별의 상황에 대한 불안감의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아이가 작별 상황을 싫어할 까봐 갑자기 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아이의 불안감을 더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 아이가 일찍 잠자리에 들어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일찍 일어나서 아침에 여유가 있게 행동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서둘러 학교에 보내느라 아이를 다그치게 되는데, 아이에게 등교시간은 좋지 않은 시간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서 건강 및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도 아이가 학교 생활에 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에게 `자랑스럽고 대견하다`는 칭찬을 자주 해주고, `부모가 정서적으로 항상 곁에 있다`는 안정감을 심어주는 것이다. 초등학교 1학년이 되면 아이가 많이 큰 것 같아도, 아직은 부모의 사랑과 배려가 많이 필요한 시기다. 아이가 학교에 다녀와서는 힘들었던 일이 없었는지 공감할 수 있는 대화가 필요하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