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간 정쟁의 골이 깊어지면서 국회가 점점 미궁으로 빠져 들고 있다. 느지막하게 소집된 1월 국회가 어제 허망하게 종료된 데 이어, 2월 국회 소집 가능성도 별로 높지 않은 형국이다. 여야 공히 말로는 2월 국회를 열어야 한다고 하지만 설득력 있게 들리지 않는다. 여야 4당 원내대표가 이번 주 초 회동을 갖고 국회 정상화 방안을 논의한다고 하지만 소득이 있을지 의문이다. 이런 때일수록 역지사지하는 자세로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국회 기능 복원을 기대할 수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여야 정치권은 서로 물고 물리는 싸움을 벌이고 있다. 쟁점들이 하나같이 접점을 찾기 쉽지 않는 것도 정국을 꼬이게 만들고 있다. 한국당은 `김태우 폭로` 의혹 특별검사 도입, 손혜원 의원의부동산 투기 의혹 국정조사, 조해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 자진 사퇴 선행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민주당의 수용불가 방침이 완고하다. 그런 터에 김경수 경남지사의 1심 실형 선고, 한국당 일부 의원들의 `5·18 망언`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이 두 사안으로 인해 국민적 갈등지수가 높아지면서 여야 정치권의 운신의 공간도 좁아지는 모양새다. 제때 협상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강대강(强對强) 대결로 치달아 온 국회가 자초한 결과라 해도 할말이 없게 생겼다. 게다가 한국당은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일정이 진행중인 데다 오는 27~28일엔 북미정상회담 개최라는 메가톤급 이슈가 있어 시선과 관심사가 분산되고 있다. 이래저래 2월 국회에 합의하기가 여의치 않아 보인다. 그렇다 해도 이게 구실이 될 수도, 되어서도 안된다.

국회기능 마비는 곧바로 국민 고통·불이익으로 돌아간다. 민생입법, 개혁입법, 정치개혁 등이 뒷전으로 밀려나 있으면 주요 현안 해결은 고사하고 정책 추진이 원천 봉쇄된다. 여야가 정파논리와 이해관계에만 매몰되면 국회정상화는 요원해지기 마련이다. 국민 인내심에도 임계점이라는 게 있지 않겠는가.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