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대한통운, 태안화력발전에 이어 한화까지…대형 산재사고 연이어 터져

지난 14일 화재가 발생한 한화대전공장 현장. [사진=뉴미디어팀]
지난 14일 화재가 발생한 한화대전공장 현장. [사진=뉴미디어팀]
충청권 대형 산업재해사고가 지난해 이어 올해도 잇따르며 안전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관리·감독을 맡은 대전지방고용노동청은 대전 한화공장 폭발 사고의 원인 규명에 진땀을 흘리는 모습이다. 하지만 지난해 특별감독반 편성 및 광역기획감독을 실시한 후 또 다시 악재가 생긴 만큼 책임을 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7일 대전노동청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전 대전 유성구 외삼동에 있는 한화대전공장 70동 추진체 이형작업장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로켓 추진체의 연소관 내 코어를 유압으로 끌어당기는 작업을 준비하던 중 발생했으며 이 폭발로 근로자 3명이 숨졌다.

한화대전공장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키운다. 앞서 지난해 5월에는 연소관 내 충전재 삽입 작업을 하던 51동에서 폭발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근로자 5명이 목숨을 잃었다. 결과적으로 1년도 채 되지 않아 재해가 연이어 발생한 셈이다.

이처럼 대전 한화공장에서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가 연이어 터지면서 대전노동청도 원인 규명 등 사태 수습에 나서며 진땀을 빼고 있다.

이번 한화대전공장 사고의 경우 화약류의 주된 점화 원인은 화기, 물리적 충격, 마찰력, 정전기, 초단파 등 5가지이지만, 폐쇄회로(CC)TV를 확인한 결과 해당 원인 모두 발견되지 않아 난항을 겪는 중이다. 대전노동청은 18일부터 실시하는 특별근로감독에 대해 지난해와 비교해 한화 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세운 위험성 진단사항에 무게를 두고 점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충청권의 대형 산재사고는 지난해부터 쉬지 않고 꾸준히 발생해왔다.

지난해 8월에는 CJ 대한통운 대전물류센터에서 택배 상·하차 아르바이트를 하던 대학생이 컨베이어벨트 인근에서 감전돼 사망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도 대전물류센터에서 일하던 근로자 1명이 화물차에 끼여 숨졌다. 충남에서는 지난해 12월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던 고(故) 김용균씨의 안타까운 사망 소식이 들려왔다. 세종에서는 지난해 6월 트리쉐이드 주상복합아파트 공사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3명이 숨지고 37명이 다쳤다.

이에 따라 지역 산업재해의 관리감독을 맡고 있는 고용노동청에 대한 책임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대전청의 경우 지난해 9-10월 특별 감독반을 편성해 광역기획감독까지 실시했지만 몇 개월 지나지 않아 또 다시 대형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에 민주노총,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등 단체들은 성명을 내고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는 "한화 대전공장에 대해 투명하고 철저한 진상조사를 벌여 책임자를 처벌하고 반드시 재발방지 근본 대책을 세워야 한다"라며 "지난해 사망사고로 진행한 특별근로감독과 종합안전진단, 재발방지 대책 이행에 대해서는 엄정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전노동청 관계자는 "특별감독 이후에도 또 다시 사고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도 "고용노동청의 감독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사업주의 안전 교육 및 훈련이나 근로자의 작업 여건 등을 감안한 총체적인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해명했다. 이영환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