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모 방송사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관해 설명할 기회가 있었다. 다행히 지난 2016년 3월 알파고와 이세돌 간 바둑대결상황으로 말하기 충분했다. 온 국민의 관심사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바둑게임은 인공지능 전체로 볼 때 하나의 사례에 불과하다. 인공지능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말하기도 하고 칩(Chip)처럼 하드웨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강(强) 인공지능과 약(弱) 인공지능으로 나누기도 한다. 전자는 영화 속에서 후자는 현재 수준의 인공지능이라 생각하면 쉽다.

이처럼 인공지능은 예상외로 범위가 넓고 다양하다. 인공지능은 1950년 앨런 튜링(Alan Turing)이라는 영국학자에 의해 최초로 고안돼 적용됐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으로도 유명하다. 이후 학문으로서 발전은 끊임없이 진보해 왔다. 역사가 70년이 되어가는 분야다.

1990년대 대우전자에서 세탁기를 내 놨는데 광고문구가 인공지능 세탁기였다. 퍼지(Fuzzy)이론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렇듯 인공지능의 학문은 유구한데 최근 들어 인기가 있는 이유는 바로 컴퓨팅 능력의 도움 때문일 것이다. 컴퓨팅 능력이 점점 커져 결국 인공지능에 꽃을 피운 셈이다. 스마트폰만 보아도 두뇌역할을 하는 CPU(AP)가 네 개에서 여덟 개씩 탑재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속도만 보면 과거 20년 전 슈퍼컴 능력과 성능이 맞먹을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는 과거 슈퍼컴이라 불리는 것을 우리나라 사람만 해도 5000만대나 손에 들고 돌아다니고 있다. 인공지능은 스스로 공부할 수 있고 터득해서 발전시킨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젠 자동통역기에서도 인공지능을 만나고 방범용, 쓰레기 투기감시 CCTV에도 속속 탑재된다. 무인 자율주행차는 물론 차세대 반도체에서도 진보를 통해 인간을 더욱 이롭게 만들어 주고 있다. 구글 엔지니어링 이사인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은 `특이점(Singularity)이 온다`라는 책에서 2045년경 인공지능이 사람의 지능을 뛰어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때가 되면, 인간은 영생(永生)할 것으로 예언키도 했다. 허망한 이야기로 들릴 수 있지만 가능성도 엿보인다. 그런데 지금수준으로 가다보면 이와 같은 일들이 오히려 점점 빨라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만큼 `지능화`가 모든 산업에 광속으로 실현중이다.

정길호 ETRI 성과홍보실장·경영학박사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