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유출, 경기침체 가속…위기 봉착한 대전

2019년은 대전시에게 특별한 의미다. 시 출범 70주년과 광역시(옛 직할시) 승격 30주년이 바로 올해다. 대전은 한국전쟁 직전인 1949년 8월 15일 시로 출범을 한 데 이어 6.25전쟁 초기 임시수도 역할을 수행했다. 충남도 도청 소재지로 중부 지방 행정·문화·경제 중심도시로 성장을 거듭하다 1974년부터 건설된 대덕연구단지는 `과학도시 대전`의 촉매제가 됐다. 1989년 1월 1일에는 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시 출범 이후 40년 만에 면적은 15.1배(35.7㎢ → 540㎢), 인구는 8.3배(12만 6704명→105만 1795명)로 각각 늘었다. 대전의 도시성장 속도는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

하지만 세종시 출범으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고 이에 더해 경기침체까지 맞물리며 대전의 성장가도에 급제동이 걸렸다. 우선 도시경쟁력의 척도인 인구수 감소는 대전의 위기를 실감케 하는 부분이다. 대전시 인구는 세종시 출범 뒤인 2013년 말 153만 2811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4년 8월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12월 기준 151만 8775명이던 대전의 인구는 이듬해 151만 4370명으로, 2017년에는 150만 2227명으로 가파른 하향곡선을 그렸다. 지난해 2월에는 150만 명이 붕괴된 데 이어 지난해 12월말 기준 148만 9936명으로 낙폭이 커졌다. 대전의 인구 감소는 세종시로의 인구 유출이 가장 컸고 지지부진한 개발호재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인구유출은 단순히 인구수만 줄어드는 게 아니라 지역의 생산능력 등 각종 경제지표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대전이 시 출범 이래 최대의 위기에 직면했다는 얘기다.

새해를 맞았지만 이 같은 위기는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지역의 핵심 현안 위주로 갈등이 확산되면서 불안감만 증폭되는 모양새다. 우선 월평공원(갈마지구) 민간특례사업이 찬반 논란으로 변질되며 진통을 겪고 있다. 도시공원 일몰제 적용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해법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지난해 말 월평공원 공론화위원회가 두 차례 조사에서 반대 의견이 우세했다며 "민간특례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것을 시에 권고한다"고 밝혔다.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생태계와 숲 등 자연환경 보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세웠다. 이에 해당 공원의 토지주들은 사유재산권을 심각하게 침해받는다며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급기야 토지주 70여 명으로 구성된 월평공원지주협의회는 지난 26일 월평공원 등산로 입구 3개소를 폐쇄했다. 공론화위의 권고안에 반대하며 민간특례사업의 조속 추진을 촉구한 것이다. 도시공원 일몰제를 앞두고 난개발을 막기 위해 내세운 민간특례 카드가 `민민 갈등` 양상으로 치닫은 셈이다. 월평공원은 대전시가 추진 중인 민간특례사업 대상지 7곳 중 1곳으로 나머지 6곳도 행정절차를 진행 중으로 사업의 연착륙은 미지수다.

야구장은 자치구 간 갈등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허태정 시장의 공약인 대전 야구장 신축을 놓고 자치구 간 유치 경쟁이 치열해진 것이다. 중구는 현재 야구장이 위치한 곳에 돔구장 건설을, 동구는 대전역 철도청 부지에 선상 야구장 구상을 제안했다. 대덕구도 접근성과 원도심 활성화를 주장하며 회덕 분기점(JC) 일원을 야구장 입지의 최적지라며 유치전에 가세했다. 유성구의 대상지역은 도안신도시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 조성부지, 구암역 인근 등 2곳이다. 현재 시는 야구장 입지 선정을 위한 용역을 진행 중으로 최종 결과는 오는 3월 초 나올 예정이다.

이렇듯 뒷걸음 성장 속 각종 현안엔 갈등의 골만 깊어져 대전의 항구적 발전을 위한 출구가 보이지 않고 있다. 흔히 말하는 그럴듯한 청사진보다 갈등을 치유하고 중재할 수 있는 대전시의 조정 역할이 시급해 보이는 이유다. 갈등이 해소되면 실타래처럼 엉킨 현안은 자연스레 풀리기 때문이다. 내일부터는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이다. 설 연휴를 기점으로 갈등 국면이 해소되고 지역 현안 사업에 순풍이 불어 대전이 위기에서 벗어나길 기대해본다. 맹태훈 취재2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