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장은혜 연구원(왼쪽)과 김아영 연구원이 손목에 붙인 복합 센서를 활용해 얻은 데이터를 스마트폰 앱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사진=ETRI 제공
ETRI 장은혜 연구원(왼쪽)과 김아영 연구원이 손목에 붙인 복합 센서를 활용해 얻은 데이터를 스마트폰 앱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사진=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우울증 환자의 상태와 중증 정도를 객관적으로 진단해 주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우울증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땀의 반응이 무뎌진다는 점에 착안, 땀 분비를 민감하게 파악할 수 있는 피부 전도도 센서를 만들었다.

ETRI는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팀과 협력해 미세한 땀과 같은 생리 변화를 손가락 끝에 붙인 피부 전도도 센서를 통해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나섰다.

연구진은 인체에 상처를 내지 않는 비침습적 생체신호 데이터 측정을 통해 우울장애가 없는 사람, 주요 우울장애 환자,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피부 전도도 신호를 통해 우울장애 상태의 진단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고, 우울장애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모니터닝이 가능한 기계학습 기반의 자동진단 모델을 개발했다. 아울러 연구진은 36.5mm x 33mm 크기의 다중 생체신호 측정이 가능한 복합모듈(센서)도 만들었다.

연구진은 앞으로 손목에 찰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에 센서를 적용할 계획이다. 연구 성과가 상용화되면 웨어러블 시계에 센서를 부착해 땀의 분석과 혈압, 심장박동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ETRI 김승환 바이오의료IT연구본부장은 "정신질환의 객관적 진단 및 예측이 가능한 생체신호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예측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봤다"며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계학습에 접목, 정신질환자의 객관적인 진단뿐 아니라 조기 징후 예측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신질환의 모니터링 및 징후예측을 위한 피부 부착형 센서 모듈개발` 과제를 통해 지난 2015년부터 3년간 개발했으며, 국제특허 3건, 국내 18건을 출원했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도 17건을 발표했다.

원세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원세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