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이 이르면 다음 달 말 2차 북미정상회담을 열기로 했다. 장소는 베트남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는 지난 18일 미국을 방문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고위급회담을 한 뒤 백악관을 방문해 이뤄진 결과다. 지난해 6월 싱가포르 1차 정상회담이후 교착상태에 빠졌던 북핵 협상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는 것이다. 그동안 평행선을 걸었던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가 얼마나 근접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북미가 실무자 접촉과 고위급회담을 통해 조율을 한 것은 확실해 보인다. 두 정상이 만나 최종 결정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싱가포르 만남이후 7개월 넘게 가능성만 언급하던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된 것은 환영할 일이다.

1차 북미정상회담이 상견례 성격이라면 2차 정상회담은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야 하는 회담이다. 조만간 만나겠다고 해놓고 2차 회담이 해를 넘긴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2차 정상회담 개최 합의는 `비핵화`와 `상응조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논의나 조율이 있었다는 얘기다. 우려스러운 것은 2차 회담을 앞두고 미국의 대북 협상기조가 흔들리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완전한 비핵화 대신 북한의 ICBM을 폐기하는 선에서 절충점을 찾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미 국방부 보고서는 `북한을 미사일 위협국 첫 번째`로 꼽았고 트럼프는 `미국민을 모든 종류의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하원에선 감시를 전제로 북한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고 ICBM만 제한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로선 비핵화 협상이 장기화 되고 있으니 현실적인 대안을 선호할 수도 있다. 미국민의 안전만 보장된다면 핵무기 보유는 눈감는 방법이 그것이다. 하지만 동북아정세의 안정과 한반도 평화를 위해선 `완전한 비핵화`가 후퇴해선 안 된다. 한반도 비핵화는 북미정상의 전 세계와의 약속이기도 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