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행정기관의 `부`뿐만 아니라 `청`에서도 유튜브 홍보가 이뤄지고 있지만 경찰청을 제외한 나머지 행정기관은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뉴미디어에 대해 홍보에 열을 올리며 우후죽순 공식계정을 개설했지만, 유튜브에 적합한 소재를 만들어내지 못하며 대다수 기관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

일각에서는 B급 유머와 정책홍보를 엮어낸 충북 충주시 사례를 언급하며, 무거운 정책주제를 `대중의 언어`로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10일 기준 17개 정부 외청의 유튜브 공식채널을 집계한 결과 경찰청이 구독자 11만 7168명, 조회수 8753만 1624건으로 이용자들에 대한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자 기준 2위를 기록한 특허청이 1만 1233명인 점을 고려하면 1위와 2위 격차가 10배 이상 벌어진 것.

방위사업청을 비롯, 국세청, 문화재청, 기상청, 산림청, 검찰청은 3000-5000명 내외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농촌진흥청, 통계청, 소방청, 관세청 등은 1000-2000명의 구독자로 확인됐다.

구독자 최하위권에 머문 곳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27명, 새만금개발청 296명, 해양경찰청 315명, 조달청 398명 등의 순이이었다.

조회수의 경우 기상청과 국세청이 각각 410만 건, 407만 건으로 집계돼 상위권에 집계됐다. 최하위는 해양경찰청으로 4만 건에 불과했다.

특히 경찰기관임에도 경찰청과 해양경찰청은 구독자와 조회수 모두 상당한 격차를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정부부처의 우후죽순 공식계정이 연일 실패를 거듭하는 것에 대한 원인으로 관료적 의사결정체계와 경직된 조직문화, 수용자에 대한 조사 미비 등을 원인으로 짚었다.

한 미디어전문가는 "유튜브 채널에서 경찰청의 구독자와 조회수가 높은 것은 포돌이를 만들 때부터 온라인 채널 이용의 노하우가 꾸준히 쌓인 결과"라며 "반면 대다수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소재인 정책과 제도 자체가 일반인에게 딱딱하고 건조한 상황에서 조직 자체도 보수적 성향이 높아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실현되기 어려운 구조"라고 말했다.

이어 "유튜브는 이른 바 먹히는 감성을 소구하고 공감을 끌어내는 대중의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정부기관은 정책을 설명한 후 이해를 구하고,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에만 집중돼 있었다"며 "딱딱함에서 탈피하고 젊고 유연한 의사결정 체계와 인력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만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