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자리를 앞세우고 있지만 고용지표는 되레 악화되고 있다. 기업의 투자가 위축되니 고용도 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다 해도 지난 한해 고용성적표는 그야말로 낙제점 수준이다. 2017년 월평균 32만 명의 일자리가 늘어났지만 지난해엔 9만 명대로 폭락했다. 8월엔 3000명까지 추락해 최저기록도 갈아치웠다. 이러다 보니 실업자가 100만 명을 넘어서고 실업률도 17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외환위기 때와 맞먹는 수준이다.

높은 실업률도 문제지만 청년층 실업이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9.5%나 된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확장실업률은 무려 22.9%다. 청년 넷 중 한명은 실업자라는 얘기다. 특히 20대 후반 청년실업률은 23.4%나 된다고 한다. OECD 회원국 평균 14.4%를 한창 웃돌 뿐 아니라 20%를 넘어선 유일한 나라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거나 더 좋은 일자리를 찾는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이처럼 나빴던 적이 없다. 교육부가 2017년 말 기준 대학졸업생 취업률을 전수 조사해봤더니 2011년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난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청년층 고용부진은 사실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하지만 다른 연령대에선 취업률이 호전되고 있는데도 유독 청년층만 악화되고 있다. 따지고 보면 우리나라 청년들이 불행한 시대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실업률이 높다고 하는 선진국들도 우리처럼 청년실업이 심각하진 않다. 직업에 대한 생각이나 일자리를 찾는 기준이 나라마다 다르긴 하다. 청년실업률이 높다는 것은 인력 손실이자 국가 경쟁력에서도 밀릴 수밖에 없다.

정부가 청년실업에 손을 놓고 있는 건 아니다. 청년일자리를 위한 지원금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1인당 연간 최대 800만 원을 3년간 지원해 몫 돈을 마련토록 해주고 있다. 획기적인 방안이지만 현실은 그다지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청년들의 중소기업 선호도가 낮은 탓이다. 임금이 적은데다 근무여건도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인 이미지에서도 중소기업은 모양새가 나지 않는다. 대기업에 다닌다고 해야 사람들이 알아주는 것이 우리 사회 분위기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중소기업에 들어갔다가 1년 내 그만두는 사람이 30%에 달한다는 통계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음이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격차는 우리나라가 유독 심한 편이다. 중소기업의 평균임금이 대기업의 절반(55%) 수준이다. 다른 것은 차지하고 같은 일을 하고도 봉급이 절반이면 다닐 맛이 나겠는가. 더 좋은 직장을 구하기 위해서도 백수의 길은 걷는 청년들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웃나라 일본은 우리와 사뭇 다르다. 청년실업률도 낮거니와 중소기업 임금이 대기업의 80% 수준이라고 한다.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고 적성에 맞는다면 굳이 대기업에 연연할 이유가 없다. 결국 정부와 기업들이 나서 이 같은 격차를 해소해줘야 한다. 그래야 청년실업률도 줄일 수가 있을 것이다.

일하고 싶어 하는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그 사회가 할 일이다.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들이 겪는 좌절감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을 것이다. 지난해 수많은 청년들이 취업전선의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지금 이 순간에도 취업을 위해 동분서주하는 청년들이 넘쳐나고 있다. 청년들이 꿈과 희망을 잃는다면 미래를 기대하기 어렵다. 꿈과 희망으로 가는 길 중 하나가 다름 아닌 취업이다. 다른 나라는 일자리가 넘쳐나는데 유독 우리나라만 청년실업이 심각하다. 국가경쟁력에서도 밀릴 수밖에 없는 일이다. 이젠 나라의 앞날을 위해서도 정부와 기업이 나서서 해결을 해야 할 문제다. 새해 정책의 최우선 과제는 `청년들에게 일자리 제공`이 되어야 한다. 그것도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야 줘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