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급속도로 늘어나 가계는 물론 경제에도 부담이 커지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빠르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6.0%로 관련통계가 있는 43개국 중 7위다. 하지만 가계부채 비율은 전 분기보다 0.8%포인트나 상승해 중국(1.0%포인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관리대책과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유난히 빠른 증가 속도를 보이고 있어 걱정이다.

소득이 비슷하게 늘어나면 가계부채가 증가해도 문제 될 건 없다. 소득보다 훨씬 빠르게 늘어나는 부채가 걱정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가계부채는 1514조 4000억 원이나 된다. 눈덩이처럼 불어나 1500조 원을 넘어선 것이다. 전년 동기나 전 분기보다는 증가속도가 줄었지만 가계소득 증가율보다 부채 증가율이 훨씬 높다. 가계소득은 늘지 않았는데도 부채 규모와 이자부담이 커지고 있으니 가계의 부담은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 자칫 하다 빚내서 빚 갚는 상황이 닥쳐올 수도 있다.

가계부채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경제의 시한폭탄이나 다름없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주택 담보대출의 비중이 유난히 높다. 빚내서 부동산을 샀다는 얘기나 다름없다. 부동산이 호황일 땐 상관없지만 가격이 떨어지면 부채에 직격탄이 된다. 새해엔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제국면이 될 것이란 예상이다. 그런데도 금리는 지속적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2008년 국제 금융위기도 미국에서 부동산 시장의 급락에 따른 부실채권이 도화선이 됐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가계부채를 해결할 방법은 마땅치가 않다. 가계 소득증대를 통해 부담을 줄이는 게 현재로선 최선이다. 정부도 가계부채가 경제의 뇌관이 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대책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