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다. 인간은 언어적 동물이므로 언어를 통해 상황을 인지하고 기억하며 살아간다. 학생들이 학교에 가서 공부를 1년 365일 매진한다고 해도 어휘와 문장을 정확히 새겨 읽지 못하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일 뿐이다. 그러므로 국어 공부를 시작할 때는 어휘력과 문장 독해력이 정확한가 점검해보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흔히 `이해했다`는 말은 말 그대로 `풀어서 이치에 맞게 깨달았다`는 말이다. 학생이 국어공부를 하며 `내가 제대로 이해했나?`라고 반문한다면 그때는 `자신의 배경지식에 비춰 옳은가` 정도의 반성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완전한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문맥적 의미`, `상황적 의미`, `어원적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만 한다.

`문맥적 의미`는 단어의 앞뒤 맥락과 문장의 흐름을 고려해 의미를 유추하는 것이므로 문장성분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조사나 어미, 접사의 의도까지 놓치지 말아야 한다. 예를 들면 `미적 관조`라는 말을 읽게 되면 `~적`의 관형사적 의미를 추론해 `아름다움을 관조하다`, `아름다움의 관조` 등으로 바꿔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말의 문법적 기능을 하는 형태소의 쓰임을 바르게 이해하는 편이 의도를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상황적 의미`는 문장보다 큰 시야에서 언어적 맥락을 살피는 것이다. 언어가 하나의 발화행위로 성립하려면 적어도 화자와 청자, 그리고 장면이 있어야 한다. 말하자면 그 언어를 둘러싸고 있는 주위의 환경적 요소를 살펴 의미를 파악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언어 외적 요소들을 통해 인지하는 것도 발화상황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어원적 의미`는 말이 생겨나게 된 근원을 찾아 이해하는 방법이다. 우리말은 대체로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 삼중체계를 어원으로 하지만 주로 한자 어원을 가지는 개념어에서 의미 혼란을 빚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용한자를 익히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관조적 태도`를 어원적 의미로 추리할 수 있다면 `관-빗장관, 버릇관, 꿸관, 볼관, 갓관/ 조-고를조, 지을조, 아침조, 도울조, 비출조` 등 의미로 아는 만큼 환기해 보고, 문맥과 상황을 고려해 `거리를 두고 비춰 본다`는 그럴듯한 의미를 추리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예시에 적용해보자. `동아시아 예술은 목적론적인 경향이 강하다. 예술에서의 심미 대상이 심미 주체에 부속되어 있고, 예술의 원리와 미학적인 메커니즘 등이 심미 주체의 예술 정신에 철저히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창작론이 중요하게 된다. 어떤 예술 행위를 할 때 이러한 창작론, 즉 어떻게 창작을 해야 하느냐, 어떤 것을 표현하느냐 등의 어떤 의도적인 목적론에 너무 휩싸이진 않는다 할지라도 작가의 의도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유형적 기교의 수련과 창작에 대한 사유가 상당히 강조되어 왔던 것이다.` 이 글에서 학생들은 `목적론, 심미 대상, 심미 주체, 부속, 미학, 메커니즘` 등의 단어들에서 주저한다. 모르는 어휘가 독서의 장애물인 것이다. 하지만 이 단어들을 문맥으로 추리해 보고 어원으로 추리해 보완할 수 있다면 웬만한 내용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술에서 심미 대상이 심미 주체에게 부속되어 있다`는 말은 주어 `심미 주체`가 `아름다움을 찾는 주체`, 즉 `작가(예술가)`이며, `심미 대상`은 `아름다움을 찾는 대상`인 `오브제(예술의 대상물)`라는 의미로 추론할 수 있다면 `예술에서 그려지는 대상은 예술가에게 달려 있다`는 말로 쉽게 풀어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길고 복잡한 문장 구조를 의미와 구절 단위로 끊어 재구성하고 자신이 아는 표현으로 일반화해 정리하면, 첫 문장이 주제 문장이며 `동아시아 예술은 작가의 예술정신이 중요하다`는 작가의 의도를 간파할 수 있다.

시험문제로 출제된 보기의 이해에 있어서도 어휘이해능력은 중요하다. 학생들은 선택지가 가리키는 의도를 찾아야 옳은 답을 고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보기에서 의문문, 통사구조, 서사적 자아, 변조 등 직관적 이해가 어려운 어휘들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국어적 개념 학습을 마친 학생이라면 선택지에 사용된 용어를 `의문문=설의법/통사구조=문장구조/서사적 자아=이야기를 전개하는 이/변조=어조의 전환`이라고 대치시키고 참, 거짓을 판별하여 (○,×)표식을 할 것이다. 반면에 국어적 개념이 없는 학생이라면 선택지에 사용된 어휘의 의미를 문맥을 통하여 추론하거나, 문장구조에 쓰인 조사나 어미, 접사 등의 형태소들을 통하여 추측하거나, 어원을 소리로라도 추리하여 상황에 맞게 해석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물론 시간상으로 보면 국어적 개념을 단순히 암기한 학생에게 유리해 보인다. 하지만 입시 종착역인 수능까지 생각하면 개념의 단순암기는 어휘 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퇴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숲은 보는데 나무는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휘 학습은 장기적인 안목으로 준비해야 한다. 우리말 어휘의 체계와 추론 방법을 바로 익히고, 정확한 독서법으로 문장을 새겨 읽도록 하는 것이 우리 아이들이 마지막까지 웃는 길이다.

최강 미담국어논술학원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