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농어촌 지역의 버스운행 축소가 현실화되고 있다. 홍성군을 비롯 여러 기초자치단체들이 앞 다퉈 일부노선을 대상으로 개편에 나섰다. 말이 좋아 개편이지 노선 폐지와 운행 횟수 감회가 주를 이룬다. 지난 3월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근로시간 특례업종에서 농어촌버스 운송사업이 제외돼 운수종사자의 주당 근로시간이 제한된 데 따른 것이다. 안 그래도 교통환경이 열악한 농어촌지역의 불편이 가중되는 건 불문가지다. 뒤늦게 실태 조사에 착수해 개선안을 제시하겠다던 고용노동부의 존재감은 찾기 어렵다. 교통 당국도 수수방관하고 있는 건 마찬가지다.

홍성군의 경우 운행이 변경되는 노선은 폐지 11개선과 운행횟수 감회 29개선, 시간조정 7개선 등이다. 노선이 폐지·감회 되는 지역에 2개 노선을 신설하고, 6회 증회할 것이라는 데 얼마나 불편을 줄일 지 의문이다. 막차 시간이 단축되는 노선도 있어 주민 이동권이 크게 제한받게 생겼다. 앞서 자구책을 내놓은 서산지역도 비슷하다. 버스 운행을 맡고 있는 서령버스는 110여 명의 버스기사가 63대 운행하던 것을 2대 줄여 예비차로 전환했다. 또 하루 692회 운행했지만 8%인 55회를 감회했다. 최대 35분을 단축하는 막차 노선 운영도 불가피해졌다. 관할지역이 훨씬 넓고, 인구가 적은 지자체의 사정은 더욱 녹록치 않을 것이다.

누누이 예고된 운행 축소가 코 앞으로 다가왔건만 별다른 대책이 눈에 띄지 않는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농어촌지역 버스 이용자 대부분이 60-70대 고령의 교통약자들인 만큼 불편을 최소화할 방안 모색을 서두를 일이다. 벽지노선 교통량 전면조사를 실시해 노선이 합리적으로 짜여졌는 지 거듭 점검하고, 버스업계 경영진단을 바탕으로 지원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교통 오지 주민을 대상으로 여러 지자체가 시행 중인 `희망택시` 같은 것도 도입을 미적대선 안 되겠다. 정부도 더 늦기 전에 교통복지 차원의 해법을 제시해야 마땅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