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민 프로축구단 대전시티즌이 연일 뭇매를 맞고 있다.

지난 해 11월 김호 대표 취임 이후 불거진 잡음은 해를 넘어서도 지속되고 있다. 올 초부터 김 대표는 그의 독불장군식 경영 방식을 지적하는 일부 팬들과 마찰을 빚은 데 이어 이달 초엔 김 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이사진 등 6명이 동반사직하는 내홍마저 일었다. 이사진들은 "김 대표의 독선적인 경영 방식을 더는 참지 못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대표는 당시 본보와의 통화에서 "이사진들이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억울해했다. 그러나 공식 반박이나 입장은 내지 않고 있다.

시티즌은 올해 모처럼 호기를 맞았다.

2015년 K리그1에서 4승7무27패로 처참한 성적을 내고 K리그2로 강등된 이후 최하위를 거듭하다 3년 만에 1부리그 승격 기회를 잡았다. 나름 흥행도 했다. 올해 아시안게임 금메달 주역 중 한 명인 황인범이 친정인 시티즌으로 복귀한 10월엔 3800명이 찾아 평균 관중의 두 배 이상 늘었다.

그럼에도 시티즌은 내년 사상 최악의 보릿고개를 넘어야 할 판이다.

내년 본예산이 당초 요구안인 75억 원보다 15억 원 삭감된 60억 원으로 조정됐기 때문이다. 올해 사무국 운영비로 올린 추경 6억 원도 일부 삭감됐다.

예산 삭감 요인은 시티즌의 `방만 운영`이었다.

화살은 김 대표에게 향하고 있다.

그는 올해 선수단 규모를 58명까지 확대했다. 타 구단의 2배 가까운 규모다. 육성으로 선수 수급의 선순환을 이루겠다고 했지만 방만 운영과 비리 의혹의 핵심으로만 지목됐을 뿐이다.

내년엔 다시 타 구단 수준으로 축소한다고 한다. 김 대표가 자신있게 추진한 정책이 1년 만에 뒤집어졌지만 정면 돌파는 없었다. 지난 민선 6기에서 김 대표에 대한 임기 보장까지 사전 논의됐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여론은 더 싸늘해지고 있다.

대전시는 최근 시티즌 쇄신안을 발표했다. 쇄신안 내용의 대부분은 올해 김 대표가 추진한 정책에 칼을 들이댄 것이다.

이젠 김 대표가 나설 때다. 시티즌이 시민구단으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누군가의 결단이 필요한 때이다.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