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호는 대전과 충북 3개 시군에 걸쳐 있는 인공호수다. 1975년에 착공해 1980년 완공된 대청호는 대전은 물론 청주시민들의 식수와 생활용수,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충청권의 생명의 젖줄이다. 이에 정부는 충청권 시민들의 식수원인 대청호의 수자원 보호를 위해 상수원보호구역,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 수변구역 등으로 지정해 각종 개발을 규제해 왔다. 그 결과 대청호 상류지역은 지난 38년간 자연환경이 잘 보전되고 있다. 하지만 상수원보호구역 등의 각종 규제에 묶여 대청호 상류지역의 발전은 정체될 수밖에 없었다. 대청호 상류지역 주민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청호의 불합리한 규제 개선을 요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최근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에서 열린 `2018년 충북 물포럼 하반기 토론회`에서 대청호 발전 방안으로 `도선 운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현재 일본 시가현청에서 `비와호` 관리를 맡고 있는 현직 일본 공무원이 비와호의 개발 및 보전정책의 성공적 사례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일본 중부지역 1450만 명의 식수원인 비와호는 1977년 적조현상이 발생하는 등 수질 오염이 심각했지만 주민들이 호수 살리기에 나서면서 수질을 개선한 성공 사례로 꼽았다. 그는 비와호의 성공 사례가 알려지면서 세계 각지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아 막대한 관광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비와호에는 유람선이 운항되고 있지만 상수원 수질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고, 오히려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물론 충청권 식수원인 대청호에 도선이 운항되면 상수원보호 등에 문제점이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주민 교통 불편 해소, 비점오염물질 발생 저감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 등도 기대할 수 있다. 정부도 일본 비와호의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인 `대청호 친환경 도선 운항`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민관이 힘을 합쳐 천혜의 수자원을 활용해 관광을 활성화하고 생태환경도 보전하는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는 얘기다. 자칫 충북 최대 자산인 대청호를 각종 규제로 발목만 잡으려는 건 아니지 걱정이다. 김진로 지방부 청주주재 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