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부패 근절 대책과 자정 노력에도 충청권 상당수 공공기관들의 청렴도가 낮은 점수를 받은 건 아쉬운 일이다. 그제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8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에 따른 것이다. 충남 예산과 충북 음성은 전국 `군` 단위 기초자치단체 중 유이(唯二)하게 1등급으로 높은 청렴도를 나타냈다. 대전시와 충북도 종합청렴도가 지난해보다 각각 1, 2단계 오른 2등급을 기록하면서 선방했다는 평가다.

밑바닥에 머문 곳이 한 두 곳이 아니라는 게 꺼림칙하다. 대전시교육청은 채용비리로 얼룩진 강원랜드와 동일한 5등급의 불명예를 얻었다. 충청권 지방공기업 중 청렴도 최하위에 그친 대전도시공사는 4등급에 머물렀다. 지난해보다 2단계 하락해 정부부처 가운데 최하위인 5등급을 받은 중소벤처기업부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낙제점을 받은 건 업무연관성이 높은 영세자영업자들과의 간극을 보여주는 듯해 씁쓸하다.

시기와 잣대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는 게 청렴도 평가다. 그럼에도 일부 기관의 사례는 뒷 맛이 좋지 않다. 청렴도 향상 과정 운영과 청렴서포터즈 창단 같은 청렴시책을 집중적으로 펼치고도 성과를 못 낸 대전시교육청이 대표적이다. 대전도시공사는 외부청렴도에서 가장 낮은 5등급이었지만 공사직원 내부청렴도는 2등급을 기록해 고개를 갸웃하게 했다. 권익위 평가를 겸허하게 수용해 청렴도 혁신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3등급에 그쳤으면서도 청렴도 우수 향상 기관 사례에 이름을 올린 문화재청을 벤치 마킹해 봄직하다. 문화재청은 2016년 5등급에서 지난해 4등급, 올해 3등급으로 계단을 오르듯 청렴도를 향상시켰다. 권익위 청렴컨설팅에 참여해 부패취약분야인 문화재 수리 개선 진단을 받고, 청렴정책을 전개한 게 주효했다. 청렴도를 끌어올리려면 해당기관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인 인식을 낮추는 게 중요하다. 자성과 더불어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려는 노력 없이는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