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해 12월. 흰눈과 산타를 떠올리고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기대하는 계절이기도 하지만, 축제계에서는 문화관광축제 추천과 선정을 위해 봄, 여름, 가을, 겨울에 수고한 지역축제의 결과물을 광역단체에 제출하고 경쟁프리젠테이션 과정을 통해 중앙정부에 문화관광축제로 추천하는 시기이다.

특히 올해는 `2020년 문화관광축제`제도 개편을 미리 대비하며 문화관광축제에 진입하기 위해 각 거점에서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했던 축제들이 선의의 경쟁을 하고 국비확보라는 수확과 결실을 기대하는 계절이기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2018년 문화관광축제인 글로벌 육성축제 4개, 대표축제 3개, 최우수축제 7개, 우수축제 10개, 유망축제 21개, 육성축제 40개 등이 재차 선의의 경쟁을 펼칠 것이며, 문화관광축제에 탈락해 고배를 마신 축제들이 재진입을 노리며 열심히 자체 결과물에 대한 내부 평가를 시행하고 있을 것이다.

올해 초부터 `2020 문화관광축제 제도개편`에 대한 여러 말들이 많았다. 제도를 또 바꾸느냐? 바꾸는 제도가 얼마나 오래 갈것이냐?를 두고 의견도 많았고, 바뀌는 제도에 대비하여 각 지자체는 어떤 준비를 할 것이냐?에 대한 고심도 많았다.

새로 바뀌는 문화관광축제 제도 개편의 내용은 간략히 정리하면 이렇다. 문화관광축제와 관련해 중앙정부 입장은 관광 콘텐츠로써 축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독특한 소재나 마케팅을 바탕으로 각 도시와 나라를 대표하는 축제 브랜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우선 1996년부터 시행되어 여러 차례 보강되어 온 문화관광축제제도의 한계에 대해 언급할 필요가 있다. 우선, 문화관광축제 선정평가 기준 고착화에 대한 문제제기, 문화관광축제 등급한도제의 한계, 세계적인 축제 육성정책의 미흡, 체계적인 축제 관리지원 시스템의 미흡, 광역단체의 축제관리 역량강화 필요, 축제평가 및 관리운영의 전담조직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앞으로 바뀌게 될 문화관광축제 제도개편의 여러 내용 중 축제를 담당하는 공무원 조직 및 민간조직에서 주목해야 할 몇 가지는 이렇다.

첫째로 `축제전담조직`을 반드시 구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축제전담조직을 꾸리되 공공위주의 방식보다 민간주도를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축제전담조직에서 연중 상시적으로 축제를 기획하고, 실행하며 예산절감과 실질적인 지역 거점의 축제 활성화를 이루어 내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축제아카데미나 축제 자격증 제도를 도입해 지역 거점의 주민 교육과 축제리더를 양성해 나가야 한다.

둘째로 정부지원에 대한 부분은 축제 재원에 대한 국비확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원 받는 축제예산에 축제 컨설팅과 정보제공, 교육 및 인턴십 같은 프로그램도 만들어 내어야 한다. 또한, 예산 지원 방식도 조금 바뀌게 된다. 현행은 정부가 직접 축제에 지원했다면, 개편방식은 글로벌 문화관광축제(글로벌축제)는 정부에서 배분하고, 문화관광축제는 광역정부로 이관되어 등급제에서 인증제로 바뀌게 된다.

셋째로 주목할 점은 기존의 축제전문가의 정성평가 위주의 평가방식이 통신사, 카드사를 통한 빅데이터 기반 정량적 평가 방식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그동안 관주도형 축제의 가장 큰 문제점이 축제후에 산출되는 방문객의 집계였다. 어림잡아 산출하는 `페르미`추정이 허수가 많다보니 방문객 집계 결과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 자체가 신뢰성이 떨어졌었다. 한마디로 방문객 수치에 대한 뻥튀기 산출을 믿을 수 없다는 결론이다. 사실상, 지금까지 지역축제의 지역경제파급효과가 작게는 십억단위, 많게는 백억단위까지 산출된다. 과거의 어느 대선후보가 말한 것을 인용하면, "축제로 인한 지역경제파급효과가 지역주민의 살림살이를 나아지게 했나?"라는 것은 항상 의문으로 남아있다.

향후 바뀌게 되는 문화관광축제 제도 개편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존재한다. 우리 모두가 원하는 지역축제의 장기적인 성장유도 및 지역축제의 일회성 행사의 탈피와 지역의 공헌가치가 될 수 있는 질적 성장을 이끌어내는 지속가능한 제도로 정착했으면 좋겠다.

백성우 (재)영동축제관광재단 축제관광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