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정주여건 갖췄어도 5년째 운행 논란

한시적으로 운영키로 한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가 고착화되고 있다.

세종시가 정주여건을 갖추지 못하는 것을 이유로 들며 2013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통근버스는 도시가 완성됐음에도 불구하고 5년이 넘도록 달리고 있어 지역사회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대전에서 내포신도시로 도청을 옮긴 충남도의 경우 `충남도청 통근버스`를 2020년까지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관련기사 3면>

2일 행안부 정부청사관리본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등에 따르면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는 2013년부터 올해까지 하루 평균 65대를 운영하고 있다. 45인승 대형버스인 점을 고려하면 하루에 3000여명의 인원이 출·퇴근하고 있다.

정부청사관리본부가 집계한 세종정부청사의 공무원 숫자는 지난 6월 30일 기준 1만 2085명. 세종청사 공무원 4분의 1 가량이 매일 통근버스를 이용하는 셈이다.

통근버스 도입 당시 행안부는 2012년 11월 `세종시로 이전하는 공무원의 경우 정주와 교통여건 미흡, 맞벌이, 자녀교육, 노부모부양, 수도권 주택매매 등 출퇴근이 불가피해 입주 초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통근버스 운행의 불가피성을 역설했다.

도시가 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행정기관이 우선 들어오니 `통근버스`를 운영하겠다던 행안부의 주장은 도입 초기에는 타당성과 설득력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인구가 30만을 넘어 중견도시로 성장한 현재 통근버스 운행 존속은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종시는 정부청사 직원 1만 2085명을 비롯 세종시청 1650명, 세종시교육청 420명, 국책연구단지 2500여명 등의 공직자가 세종에서 활동 중이다.

행복청은 이들을 위해 세종시 도입초기부터 올해까지 총 10만 6000호 규모의 공동주택(아파트)를 공급했고, 전체주택 공급물량의 50-70%은 `이주기관 공무원 특별분양`으로 배정돼 공급 중이다.

세종지역에서 공무원만 분양받을 수 있는 아파트가 그동안 5만-7만 가구에 이르는 점을 고려할 경우 공무원 1명당 1채 이상의 주택이 공급된 것으로 추산된다.

주택뿐만 아니라 BRT(간선급행버스체계), 광역교통망 등 교통체계 확보를 비롯, 대형유통점과 국립세종도서관 등 기반시설이 갖춰지면서 정주여건도 나아졌다.

도시가 성숙됨에 따라 세종시 인구 또한 2012년 11만 3117명에서 지난 10월 기준 31만 403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를 비롯한 세종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세종청사 통근버스를 두고 국가균형과 세종지역 발전 저해, 예산 낭비라고 주장하며 해마다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더욱이 세종청사 통근버스의 운영과 시기를 같이한 `충남도청 통근버스`의 경우 충남도의회가 내포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운행을 중단하라는 요구를 받아들여 폐지절차에 들어가 대조를 보였다.

도청 통근버스는 2012년 12월 대전에서 내포로 이전한 공무원 편의를 위해 운행을 시작했으며, 도의회 요구에 따라 해마다 운행대수를 줄이고 2020년 최종 폐지키로 결정했다.

충남도 관계자는 "도의회와 2020년까지만 통근버스를 운행하기로 약속했다. 이 부분은 직원에게 공지됐다"며 "도청의 상당수 공무원이 내포신도시로 이주했으며 도청 이전 초기에 비해 통근버스를 이용하는 이들이 많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행안부 정부청사관리본부 관계자는 "세종청사의 경우 시내버스와 택시 부족 등 아직 정주여건이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고, 아직도 세종으로 주거를 옮기지 못한 공직자가 상당수 존재해 통근버스를 운영 중"이라며 "앞으로 행안부를 비롯한 정부기관이 계속적으로 이전하고 있어 앞으로도 운영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김정원·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