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행, 부산은행 이어 대구은행까지 진출 움직임

대전에 영·호남 지방은행이 잇따라 진출하며 각축전이 벌어지는 양상이다. 대구은행이 대전·세종 진출 계획을 밝히면서 대전에는 앞으로 전북, 부산, 대구은행 등 타 지역에 본점을 둔 지방은행이 자리를 잡게 된다.

영·호남 지방은행이 대전에 둥지를 틀게 된 이유는 충청을 기반으로 한 지방은행이 없다는 점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더욱이 지방은행의 점포 개설은 별다른 법적 규제가 없기 때문에 대전처럼 진입장벽이 낮고 지방은행이 진출을 꾀한다면 언제든 가능하다.

15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전북은행은 2008년 11월 대전 둔산동에 1호점을 내며 대전에 첫 발을 디뎠다. 이후 점포 확장을 지속해 현재 대전 7곳, 세종 2곳 등 총 9곳의 점포가 운영 중이다. 2016년 당시 10곳까지 점포를 확대했지만, 점포 운용 효율성을 위해 9곳이 운영 중이다. 2014년 11월 첫 영업점을 낸 부산은행은 현재까지 1곳의 점포에 머무르고 있다. 대구은행도 이날 대전·세종 점포 확장 계획을 밝혀 대전엔 10여 곳의 영·호남 지방은행 점포가 둥지를 틀게 된다.

대전의 지방은행은 충청은행이 1998년 6월 국제통화기금 금융위기(IMF) 당시 하나은행에 합병되면서 자취를 감췄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지방은행의 대전 진출이 보다 손쉬워졌고 대전이 지방은행들의 격전지로 뒤바뀌고 있는 것이다.

지방은행의 타지역 진출은 법적 규제나 제한이 없다는 점도 이유다. 지방은행법 규제에 따라 지방은행은 광역시와 특별시에만 지점 설치가 가능하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지방은행의 타 지역 진출과 관련한 법규나 인허가사항이 따로 있는 것은 없다"며 "대전에 영·호남 지방은행이 잇따라 들어서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타 지역 지방은행 진출에 따라 지역은행 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산업금융을 목표로 한 지방은행의 생산적 금융을 주문했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전은 지방은행이 부재한 상황으로 보다 지역 기업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점이 아쉬운 점"이라며 "타 지역은행이 대전에 들어서서 산업금융지원이 아닌 주택담보대출, PF 등 부동산에만 의지한다면 지역경제활성화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