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새해첫날, 미국과 프랑스 공중파에서는 비디오아티스트 백남준의 작품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 방영됐다. 이 작품은 영국의 소설가 조지오웰의 `1984년`을 풍자하면서 TV의 역기능을 예술적으로 해석, 비디오 예술의 원조로 자리매김한 출세작으로 꼽힌다 .

백남준은 관념적 예술 형식을 버리고 무엇이든지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과감히 시도해 세계 예술계에서는 `동양의 문화 테러리스트` `지구촌 민주주의의 건달` 이라고 불렸다. 이는 무대 위에서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때려 부순다거나, 관객의 넥타이를 자르는 행위를 자행한 탓이다.

전통을 거부하면서 재미와 즉흥성으로 독자적인 예술영역을 구축한 그의 체취는 대전에서도 만나 볼 수 있다. 모니터 348개와 낡은 TV 등으로 만든 `프랙탈 거북선`이 그것. 프랙탈 거북선은 1993년 대전엑스포 때 재생조형관에서 전시한 뒤 방치돼 오다 2001년 관리를 위해 시립미술관에 이전 설치됐다. 2009 서울빛축제 때는 광화문 이순신 동상 옆에 임대 전시돼 관람객 320만명이 찾았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폭 8m 깊이 12m 높이 5m로 국내 백남준 작품 중에는 국립현대미술관의 `다다익선`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이런 프랙탈 거북선이 작품 내부의 영상 송출기기 이상으로 일부 영상이 제대로 재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이달부터 가동이 중단됐다고 한다. 앞서 지난 2월 `다다익선`이 시설 노후 문제로 가동 중단돼 8개월간 꺼진 채 방치되고 있는데 이은 2번째다. 이들 작품 대부분이 단종된 브라운관 TV로 구성돼 교체용을 구입하기도 쉽지 않은 처지다. 백남준은 생전 자신의 작품을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남겼다. 외형의 조형적인 형태는 유지하되, 기술 진보에 따라 새로운 기술로 대체하도록 지침을 만들어 놓은 것이다. 시대 변화에 맞게 브라운관을 평면 LCD로 교체하자는 목소리도 있지만 당시의 조형미를 지켜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않다. 3000년대를 앞서 내다본 그의 철학을 후대 예술가가 이어받아 `프랙탈 거북선 2`를 내놓는다면 백남준 생전 "예술은 사유재산이 아니다"라고 선언한 그의 철학을 실현시키는 것은 아닐까.

원세연 취재 1부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원세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