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소연 대전시의원이 지난 9월 폭로한 금품요구 주장이 사정당국에 의해 사실에 가까워지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 6·13 지방선거 과정에서 믿을만 한 사람이 소개시켜준 선거브로커에게 선거비용 한도액인 5000만 원의 2배인 1억 원을 요구받았다고 폭로했다. 또 믿을만 한 사람이 이 사실을 모두 알고 있는 배후 인물인 점도 밝혔다. 김 의원의 폭로 뒤 대전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브로커만 검찰에 고발했고, 검찰은 수사 끝에 선거브로커는 물론 배후로 지목한 전직 시의원까지 구속했다. 김 의원의 말이 맞아 떨어지고 있는 셈이다.

관심은 수사의 종착점이 어디냐이다. 김 의원은 폭로를 통해 선거브로커와 전직 시의원 외에는 다른 인물을 언급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상황이라면 검찰의 수사도 전직 시의원 구속을 끝으로 마무리될 공산이 크다. 하지만 `윗선이 있을 것이다`, `김 의원 혼자만의 일이겠느냐`, `선거판은 다 비슷할 것` 등 정치에 대한 혐오와 불신에서부터 시작된 온갖 추측이 폭로를 등에 업고 퍼지고 있다. 이런 추측은 사실 여부와 관계 없이 기존 정치에 대한 불신을 키우기 마련이다.

금권선거를 탈피하고자 지난 20년 동안 관계기관, 정치인들이 자정 노력을 벌였다. 하지만 2018년 6월 정권이 바뀌고, 나라다운 나라를 외치며 표를 호소하던 집권당 광역의원 후보에게 선거브로커의 마수가 뻗쳤다. 이 사실만으로도 지역 정가는 충격에 휩싸였고, 지역 정치를 10년은 퇴보시켰다는 평가를 내놨다. 유권자들의 허망함은 더 컸을 것이다. 초선의원의 용기 있는 고백이 아니었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전히 이 같은 사실을 모르고 자신들의 삶을 살아갔을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속은 기분이 드는 것은 당연하다. 김 의원에게 응원의 박수와 격려를 보내줌은 마땅하지만 선거브로커를 통한 선거가 아직까지 횡행한다는 사실은 씁쓸하기만 하다. 또 다시 정치에 대한 혐오와 불신이 커진다. 악순환이다.

폭로 후 김 의원이 기자회견에서 한 발언을 다시 상기시키고자 한다. 그는 "선거판의 관행을 바로 잡지 않게 된다면 그 피해가 시민들에게 돌아갈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꼈다"며 "불법적인 선거 관행을 근절하고 공정한 선거문화를 바로 세우는데 앞장서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고 말했다. 한 초선의원이 놓은 디딤돌을 딛고 정치가 신뢰를 받기 위해서는 기존 정치인들의 부단한 자정노력은 물론, 정치를 외면하지 않는 유권자들이 관심이 가장 중요하다.

취재1부 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