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스파텔은 유성호텔 등과 더불어 유성온천 내 몇 군데 없는 원천수 호텔이다.

유성관광특구 내 노른자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계룡스파텔은 연면적 5만 7441㎡(약 1만 7000평) 규모지만 본관과 별관 등 용적률은 30%에 머물고 있다.

1925년 설립후 1945년 육군이 인수하면서 군 휴양시설로 60년 넘게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다 2014년 일반인에게도 완전 개방됐다. 그러나 일반인 이용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여전히 군 휴양소라는 인식이 있어선데, 군도 그다지 적극 홍보하고 있진 않은 듯하다.

`도심 속 유일한 휴양지`인 계룡스파텔 개발은 유성관광특구의 쇠락을 배경으로 지난 10년 간 꾸준히 의제로 등장하고 있다.

육군과 대전시에서 각각 계룡스파텔 개발 용역까지 발주하면서 지속 논의의 장에 올렸지만 별 진전은 없었다. 개발 방법론에서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인데, 대전시의 공기업이 참여하는 공동개발 제안에 대해 올 2월 육군이 또다시 난색을 표하면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 10년 간 개발을 두고 대전시와 육군의 추진상황을 보면 시의 제안에 군이 방어하는 모양새다.

계룡스파텔은 육군 소유로 엄밀히 말하면 국가 소유다.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계룡스파텔을 도심형 워터파크·스파, MICE 등의 문화관광콘텐츠를 입혀 복합휴양단지로 개발해 온전히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시키자는 주장이 일리있는 이유다. 개발은 유성특구 재도약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여기엔 계룡스파텔이 유성특구의 쇠락을 자초했다는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부분도 있다.

일반 영업으로 유성특구 내 다른 민간 사업자들과 경쟁하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용료가 다른 업소의 경쟁력을 저하시켰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도 정작 개발론이 공론화되면 군 소유라는 명분을 내세워 소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싸늘한 시선도 나온다.

지역시민사회단체의 한 관계자는 "계룡스파텔이 현재의 모습에 머물려면 시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유성 관광업계에 피해를 주거나 충돌하지 않는 형태가 돼야 하는데 실정은 그렇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육군 입장에서도 민간자본이 투입되는 개발 방식이 법에 의해 제동이 걸리는 부분이 답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시민에 완전 개방을 하고 있다"는 육군의 주장이 진정성을 갖기 위해선 군이 먼저 개방적인 마인드로 논의에 적극 임해야 할 것이다.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